본문 바로가기

나무131

백목련 (White magnolia, Yulan) 봄에 잎보다 먼저 꽃이 활짝 피는 백목련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 Magnolia denudata ♠ 분류 : 식물계> 현화식물문> 목련강> 목련과> 목련속 ♠ 분포 : 한국, 중국(원산지) ♠ 꽃 : 3~4월 ♠ 열매 : 5~9월 ♠ 크기 : 10m ♠ 꽃말 :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 유래 : 목(木) 련(蓮)은 나무에 피는 연꽃이라는 뜻이다. ♠ 꽃이 옥빛이어서 '옥란', 흰 꽃이 가지 가득 피어서 '흰가지꽃나무', 꽃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 꽃봉오리가 필 때 북쪽을 향한다고 '북향화'라고도 한다. ♠ 백목련은 꽃잎처럼 보이는 화피편이 9장이고, 잎보다 꽃이 먼저 핀다. 꽃잎과 꽃받침이 구별이 되지 않는다. ♠ 목련은 화피가 좁고 길쭉하며, 백목련은 화피가 넓고 크다. 목련은 꽃잎과 꽃받.. 2024. 3. 15.
2024년 벚꽃 개화시기 (feat. 웨더아이) 벚꽃 개화 어떻게 예측할까? 벚꽃 개화 시기는 2월과 3월 날씨의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높으면 빠르게 피는데, 특히 개화 직전의 기온 변화에 따라 그 시기는 크게 달라진다고 한다. 올해 벚꽃의 개화시기는 전국적으로 평년보다 1~7일 정도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평년보다 2~6일 정도 일찍 벚꽃이 피기 시작하겠고, 호남 및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평년보다 7일 빠른 시기에 벚꽃이 개화한다. 작년과 비교하면 남부지방은 작년보다 1~7일 늦겠고, 중부지방은 작년보다 5~9일 정도 늦은 시기에 벚꽃이 피기 시작한다. 벚꽃 개화 관측 기준은? 벚꽃의 개화일은 각 지역의 식물 계절 관측용 표준목을 기준으로 벚나무 한 그루 중 세 송이 이상이 완전히 피었을 때를 말한다. 군락지의 경우에는.. 2024. 3. 9.
수수꽃다리 (Korean early lilac) 은은한 꽃향기가 참 좋은 수수꽃다리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Syringa oblata Lindl. var. dilatata (Nakai) Rehder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목련강> 현삼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 분포: 한국 특산종, 황해도, 평안남도 및 함경남도 지역의 석회암 지대 ♠ 꽃: 4~5월 ♠ 열매: 9~10월 ♠ 크기: 2~4m ♠ 꽃말: 우애 ♠ 유래: 가지 끝에 모여 피는 꽃이 수수 이삭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수수꽃다리라고 한다. ♠ 넓은잎정향나무, 개똥나무 라고 부르기도 한다. ♠ 관상용으로 재배하는 라일락(서양 수수꽃다리)과 비슷하지만, 라일락은 잎 길이가 폭에 비해서 긴 편인데, 수수꽃다리는 길이와 폭이 비슷한 점이 다르다. 꽃의 크기는 수수꽃다리가 작고 라.. 2024. 3. 5.
모과나무 (quince tree) 못생긴 열매와 예쁜 꽃, 향기가 좋은 모과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 Pseudocydonia sinensis ♠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모과나무속 ♠ 분포 : 한국(중부 이남), 중국, 일본 ♠ 원산지 : 중국 ♠ 꽃 : 4~5월, 연한 홍색 ♠ 열매 : 9~10월 ♠ 크기 : 2~10m ♠ 꽃말 : 평범 ♠ 유래 : 나무에 오이(참외) 모양의 열매가 달린다 하여, '목과(木瓜)나무'로 불리다가 모과나무가 된 것이다. ♠ 열매는 레몬보다 비타민 C의 함량이 많고 사과보다 펙틴 함량이 많을 뿐 아니라 향기가 좋아 모과차로 마실 수 있다.  ♠ 모과차는 감기를 예방하고 장에 유익한 균을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 모과열매를 말린 뒤 달여 만든 약은 가래를 .. 2024. 3. 5.
자귀나무 (Silk tree) 부부사이를 좋게 하는 나무로 알려져 있는 자귀나무 : 낙엽 활엽 소교목♠ 학명: Albizia julibrissin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 분포: 한국(경기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 중국, 대만, 인도, 네팔, 일본 ♠ 꽃: 6~7월 ♠ 열매: 8~10월 ♠ 크기: 3~8m ♠ 꽃말: 사랑, 가슴 두근거림, 환희 ♠ 유래 1: 나무 깎는 연장 '자귀대(손잡이)'를 만드는 데 쓴다고 자귀나무라는 설이 있다. ♠ 유래 2: 밤에 잎이 포개져 있는 모양이 마치 귀신이 잠을 자는 것 같아서 '잠자는 귀신'이라는 뜻으로 자귀나무라는 설이 있다. ♠ 50~80장이나 되는 잎이 짝을 이뤄 '야합수' '합환수' '유정수'라고도 불린다. ♠ 소가 아파서 먹지 .. 2024. 3. 4.
야광나무 (Siberian Crab Apple) 밤에 빛나는 야광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Malus baccata♠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 장미목> 장미과> 사과나무속> 야광나무♠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부탄, 네팔, 몽골, 러시아(동부)♠ 꽃: 4~6월♠ 열매: 9~10월♠ 크기: 6~10m♠ 꽃말: 온화♠ 유래: 무리를 지어 새하얀 꽃이 밤에도 빛을 낸다고 하여 야광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사과나무를 접붙일 때, 대목으로 많이 이용된다.잎: 어긋나기, 잎 모양은 타원형이며, 잎끝이 꼬리처럼 뾰족하고 잎자루가 길다. 어릴 때는 양면에 털이 있지만 차츰 떨어져 없어진다. 잎자루는 길이 2~5cm이고 털이 약간 있다. 탁엽은 길이 3mm 정도의 피침형인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샘털이 약간 있다.꽃: 양성화, 짧은 가지에 산방꽃차례에 흰.. 2024.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