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51

느티나무 (Sawleaf zelkova) 마을 어귀의 정자나무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Zelkova serrata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느릅나무과> 느티나무속♠ 국내분포: 전국에 분포하며 주로 산지의 계곡부에 자람♠ 분포: 중국, 일본, 한국 ♠ 꽃: 4~5월 ♠ 열매: 10월 ♠ 크기: 30~40m ♠ 꽃말: 운명♠유래 1: 자라면서 줄기껍질이 일어나고 누르스름해져서 누르스름한 티를 내는 나무, 즉 '늙은 티'를 내는 나무라는 뜻♠유래 2:槐木)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괴목은 본래 느티나무가 아니라 회화나무를 뜻한다. 느티나무가 꼭 회화나무를 닮았는데, 누렇다고 해서 누른 회나무 즉, 눌회나무라하다가 느티나무로 바뀌었다고 한다.♠ 어느 마을이나 마을 입구에는 커다란 느티나무가 서.. 2024. 7. 16.
상수리나무 (Sawtooth oak) 임금님 수라상에 올랐다 하여 붙여진 상수리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Quercus acutissima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참나무목> 참나무과> 참나무속 ♠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인도,라오스,네팔 ♠ 국내분포: 함경남도를 제외한 전국의 표고 800m 이하의 양지바른 산기슭에 군생 ♠ 꽃: 4~5월 ♠ 열매: 다음 해 10월 ♠ 크기: 20~25m ♠ 꽃말: 번영 ♠ 유래 1: 임진왜란 때, 선조 임금의 수라상에 올렸다고 '상수라'라 하다가 상수리가 됨 ♠ 유래 2: 상수리나무 열매를 가리키는 한자어 상실(橡實:도토리나무)이 변한 것 ♠ 굴참나무와 유사하지만 잎 뒷면이 광택이 있는 연한 녹색이며, 수피에 코르크가 발달하지 않는 것이 다르다. ♠ 상수리나무는 성장이 빨.. 2024. 6. 19.
밤나무 (Korean castanea) 꽃에서 독특한 냄새가 나는 밤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Castanea crenata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참나무목> 참나무과> 밤나무속 ♠ 분포: 한국과 일본이 원산지, 대만 ♠ 꽃: 5~6월 ♠ 열매: 9~10월 ♠ 크기: 15m ♠ 꽃말: 호화로움, 정의, 공평, 포근한 사랑 ♠ 유래: 옛날에는 밤이 중요한 먹거리여서, '밥나무'라 부르다가 밤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 상수리나무 잎이나 굴참나무 잎과 비슷하지만 꽃과 열매가 달리면 쉽게 구분된다. ♠ 상수리나무 잎과 다른점은 밤나무 잎 가장자리 톱니의 끝까지 엽록소가 형성되어 톱니도 녹색을 띠는 점이 다르다. ♠ 꽃에서는 아주 진한 꽃향기가 나지만 약간 좋지 않은 냄새가 난다. ♠ 밤나무 열매는 한의사들이 율자라고 하.. 2024. 6. 18.
붉나무 (Nutgall tree) 가을에 노랗다가 선명한 붉은색으로 물드는 단풍이 아름다운 붉나무 : 낙엽 활엽 소교목♠ 학명: Rhus chinensis Mill.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무환자나무목> 옻나무과> 붉나무속 ♠ 분포: 중국, 대만, 캄보디아, 인도, 인도네시아, 라오스,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일본, 한국 ♠ 꽃: 8~9월 ♠ 열매: 10~11월 ♠ 크기: 7m ♠ 꽃말: 신앙♠ 유래: 가을에 잎이 유난희 붉게 물들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잎의 생김새가 옻나무와 비슷하기 때문에 산에서 이 나무를 만나면 옻나무인 줄 알고 피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붉나무는 옻나무과이지만 옻이 오르지는 않는다.♠ 오배자진딧물이 붉나무의 잎에 기생해 만든 충영(벌레집)을 오배자라고 하여 약용 및.. 2024. 6. 10.
가침박달(Korean pearl bush) 실로 감아 꿰맨다는 ‘감치다’에서 유래한 가침박달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가침박달속 ♠ 분포: 일본, 중국, 러시아, 미국, 유럽 ♠ 국내분포: 평안남북도, 황해도, 경기도 해안가 및 함경북도,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 꽃: 4~5월 ♠ 열매: 7~8월 ♠ 크기: 높이 1~5m ♠ 꽃말: 청순, 순결, 숨겨진 아름다움♠ 유래: 열매는 깃봉 모양이고 끝은 오목하게 패여 있다. 씨방 여럿이 마치 바느질할 때 감치기를 한 것처럼 연결되어 있다.  '감치기'와 박달나무처럼 단단하다는 의미를 합친 '감치기 박달'이 변하여 가침박달이 되었다고 한다. ♠  자그마한 나무이며 .. 2024. 6. 6.
두충(eucommia bark) 잎을 찢어보면 거미줄 모양의 점액질 하얀 실이 보이는 두충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Eucommia ulmoides oliv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군> 쌍떡잎식물강> 가리아목> 두충과> 두충속> 두충 ♠ 원산지: 중국 ♠ 국내분포: 경기, 강원, 충북, 경북 등 전국 ♠ 꽃: 4~5월 ♠ 열매: 8~11월 ♠ 크기: 15~20m ♠ 꽃말: 가정의 행복과 평화 ♠ 유래: '두중'이라는 중국 사람이 두충의 껍질을 달여 먹고 득도했다는 일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야생에서는 멸종되었으나 나무껍질이 한약재로 사용되기 때문에 널리 재배된다. ♠ 두충 성분이 함유된 피로회복제가 있다. 약효가 좋아서 나무보다 약제가 먼저 고려시대에 수입이 되었다고 한다. 1927년 지금의 홍릉수목원에 두충이 맨 처.. 2024.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