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158 나한송 (Yew plum pine) 홍콩에서는 풍수와 관련된 귀한 나무로 여겨지는 나한송 : 상록 침엽 교목♠ 학명 : Podocarpus macrophyllus♠ 구분 : 식물계> 구과식물문> 구과식물강> 나한송목> 나한송과> 나한송속> 나한송♠ 분포 : 한국, 중국(중남부), 일본(혼슈 이남의 바다 인근 산지), 타이완, 미얀마♠ 국내분포/자생지 : 전남(가거도) 해안가 절벽에 소수 개체 자생♠ 꽃 : 5~6월 ♠ 열매 : 10~12월 ♠ 크기 : 20m ♠ 꽃말 : 변하지 않는 사랑♠ 유래 : 나한송의 씨앗이 스님의 머리 모양을 닮았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나한'이라는 단어는 '아라한'을 말하며 불교의 수행을 완성한 성자를 말한다. ♠ 전 세계적으로 아열대에서 난대 지역에 걸쳐 널리 식재한다. ♠ 홍콩에서는 풍수와 관련된 귀한 나무로.. 2025. 9. 5. 꾸지뽕나무 (Silkworm thorn) 꾸지나무처럼 수피로 종이를 만드는 꾸지뽕나무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 Cudrania tricuspidata♠ 구분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뽕나무과> 꾸지뽕나무속> 꾸지뽕나무♠ 분포 : 중국(산둥반도 이남), 한국♠ 국내분포/자생지 : 황해도 이남, 주로 남부지방의 햇빛이 잘 드는 풀밭이나 숲 가장자리♠ 꽃 : 5~6월 ♠ 열매 : 9~10월 ♠ 크기 : 4~8m ♠ 꽃말 : 지혜, 못 이룬 사랑♠ 유래 : 꾸지나무처럼 수피로 종이를 만들고, 뽕과 비슷한 열매가 열리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열매는 식용 또는 약용으로 쓰이며, 잎은 누에 사료로 쓴다.잎: 어긋나기, 달걀형 또는 거꿀달걀형이며, 생육환경에 따라 잎몸이 2~3갈래로 갈라진다.꽃: 암수딴그루, 잎겨드랑이에서 1.. 2025. 9. 1. 꽝꽝나무 (Box-leaf holly) 잎이 두꺼워 불에 태우면 '꽝꽝'소리가 난다는 꽝꽝나무 : 상록 활엽 관목♠ 학명 : Ilex crenata Thunb.♠ 구분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산토끼꽃목> 인동과> 댕강나무속> 댕강나무 ♠ 분포 : 중국(산둥반도 이남) 일본(혼슈 이남), 한국♠ 국내분포/자생지 : 경남, 전남, 전북(변산반도), 제주도의 산지 숲 속♠ 꽃 : 5~6월 ♠ 열매 : 9~10월 ♠ 크기 : 3~5m ♠ 꽃말 : 참고 견디어 낼 줄 암♠ 유래 : 잎이 두껍고 살이 많아서, 불에 태우면 '꽝꽝' 소리가 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맹아력이 좋아 생울타리나 토피어리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 회양목과 외형이 비슷하지만, 잎이 어긋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어 쉽게 구별할 수 있다.잎: 어긋나기,.. 2025. 8. 28. 댕강나무 (Taihyun’s abelia) 흰꽃이 줄기 끝에 머리 모양으로 달리는 댕강나무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 Zabelia tyaihyonii (Nakai) Hisauti & H.Hara♠ 구분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산토끼꽃목> 인동과> 댕강나무속> 댕강나무♠ 분포 : 한국 (한반도 고유종)♠ 국내분포/자생지 : 전국의 산지 ♠ 꽃 : 5~6월 ♠ 열매 : 9~10월 ♠ 크기 : 1~2m ♠ 꽃말 : 평안함, 소녀의 꿈♠ 유래 : 나뭇가지를 꺾을 때 '동강동강'하고 부러지는 소리가 '댕강댕강'으로 변해서 '댕강나무'가 되었다고 한다.잎: 마주나기, 잎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쐐기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양면에 털이 드문드문 있다.꽃: 양성화, 5~6월에 새 가지 끝에서 나온 두상꽃차례에 연한 홍색의 양성화가 모여.. 2025. 8. 27. 까치박달 (Heart-leaf hornbeam) 이삭 모양의 꽃이 피는 까치박달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 Carpinus cordata Blume♠ 구분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 까치박달♠ 분포 : 중국(중북부), 일본, 러시아, 한국♠ 국내분포/자생지 : 전국의 산지♠ 꽃 : 4~5월 ♠ 열매 : 6~10월 ♠ 크기 : 15~18m ♠ 꽃말 : 사랑, 감사, 존경♠ 유래 1 : 목재가 단단해서 박달나무를 닮았지만, 서어나무속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 유래 2 : 까치가 사는 낮은 산에 분포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까치박달은 겨울에도 마른 잎을 달고 있다. 잎은 말려서 뒤틀려 있지만 규칙적인 잎맥, 심장저의 모습을 볼 수 있다.잎: 어긋나기, 끝은 급히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비대칭 .. 2025. 8. 26. 굴거리나무 (Macropodous daphniphyllum) 무당이 굿거리 할 때 흔들었다는 굴거리나무 : 상록 활엽 교목♠ 학명 :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구분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범의귀목> 굴거리나무과> 굴거리나무속> 굴거리나무 ♠ 분포 : 중국(중남부), 일본(혼슈 이남), 타이완, 베트남, 한국♠ 국내분포/자생지 : 울릉도, 전북, 전남 및 제주도의 산지♠ 꽃 : 5~6월 ♠ 열매 : 11~12월 ♠ 크기 : 3~10m ♠ 꽃말 : 자리를 내어줌♠ 유래 : 무당이 굿거리 할 때, 굴거리나무의 가지를 흔들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 봄철 새 잎이 나온 직후 오래된 잎이 떨어져 자리를 양보하는 나무라는 뜻으로 '교양목'이라 부르기도 한다.잎: 어긋나기, 잎몸은 가죽질이고 앞면에는 광택이 있다. 새 잎은 .. 2025. 8. 25. 이전 1 2 3 4 5 6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