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해18 겨우살이 (True mistletoes) ♠ 학명 : Loranthus yadorikiSieb ♠ 분포 : 우리나라 각지에 널리 분포, 일본, 중국♠ 병원균 : Viscum album ver. coloratum, 겨우살이과에 속하는 일종의 기생성 종자식물♠ 피해수목 : 참나무 등 활엽수류♠ 종류 : 겨우살이, 붉은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참나무겨우살이, 동백나무겨우살이병징 및 표징:주로 큰 나무들의 윗가지에 기생한다.피해를 받은 나무는 멀리서 보면 마치 나뭇가지에 크고 작은 새둥지들이 달려 있는 것처럼 보인다.상록 기생 관목인 겨우살이는 기주식물의 잎이 다 떨어지고 맨가지가 드러나는 겨울에 특히 눈에 잘 띈다.겨우살이의 착생 부위는 방추형으로 부풀어 오른다.착생 부위에서 가지의 선단부까지는 위축되고 결국에는 말라죽는다.겨우살이가 많이 발생한 .. 2025. 2. 4. 칠엽수 얼룩무늬병 (Leaf blotch of horse chestnut) ♠ 병원균: Guignardia aesculi, 곰팡이, 자낭균류 (자낭포자와 2종의 분생포자 형성)♠ 피해수목: 칠엽수, 가시칠엽수(마로니에)♠ 월동: 자낭각 상태로 월동♠ 병든 잎은 마치 뜨거운 햇볕에 타서 그을은 것처럼 지저분한 모습을 띠기 때문에 나무의 미관이 크게 손상된다.♠ 특히 묘목과 어린나무에 심한 조기낙엽을 초래하여 수세를 약화시키고, 생육에 큰 피해를 준다.피해특징:병원균은 병든 낙엽의 조직 내에서 미성숙한 자낭각의 상태로 겨울을 나고 봄에 성숙한 자낭각이 된다.새잎이 날 때쯤 비가 오면 이들 자낭각에서 방출된 자낭포자가 비, 바람에 의해 새잎에 전파되어 1차 감염을 일으킨다. 1차 감염에 의해 생긴 병반 위에는 곧 분생포자각들이 나타나며 이들 분생포자각 내에 있는 분생포자들은 주로 빗.. 2025. 1. 22. 산수유 점무늬병 (Cercospora leaf spot of Asiatic dogwood) ♠ 병원균: Pseudocercospora cornicola ♠ 분류: 곰팡이의 일종, 불완전균류♠ 월동: 병든 잎이나 병든 낙엽에서 분생포자좌의 상태로 월동 ♠ 피해수목: 산수유, 산딸나무속 식물들♠ 여름철에 비가 많이 내린 해에 흔히 발생한다.♠ 나무의 생장에 큰 피해를 주지는 않으나, 잎에 많은 병반이 나타나 나무의 미관을 해친다.피해 특징:산수유 등 층층나무속 수목에 자주 발생하는 병으로 나무의 생장에 큰 피해를 주지는 않으나 잎에 많은 병반이 나타나 노랗게 변하면서 일찍 떨어진다. 특히 여름철에 비가 자주 오는 해에 피해가 심하다. 병징 및 표징:7월~초가을, 잎에 엽맥으로 둘러 막힌, 5~10mm 크기 되는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모무늬의 갈색 병반이 다수 나타나며, 병반의 뒷면은 엷은 갈색을 .. 2024. 12. 12. 산수유 두창병 (Spot anthracnose of Asiatic dogwood) ♠ 병원균: Elsinoe corni, 곰팡이, 자낭균류♠ 피해수목: 산수유, 층층나무, 말채나무, 산딸나무 ♠ 월동: 병든가지와 겨울눈, 그리고 나무에 남아 있는 병든 잎과 열매 등에서 겨울을 난다.♠ 봄철의 비가 잦고 낮은 기온이 지속될 때 많이 발생한다.♠ 묘목에 피해가 심하며 생장을 크게 저해한다.♠ 성목의 경우는 나무의 미관이 상당히 손상되지만 수세가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피해 특징:피해는 봄에 새 잎이 날 때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여름철에는 병이 더 이상 진전되지 않고 멈추었다가 가을이 되면 다시 햇가지에 발생한다. 특히 묘목에 피해가 심하며 생장을 크게 저해한다. 병징 및 표징:이른 봄부터 새로 피어난 잎에 지름 1~3mm 되는 적갈색의 원형 병반들이 다수 나타난다. 병반의 중앙부는.. 2024. 12. 12. 감나무 둥근무늬낙엽병 (Circular leaf spot) ♠ 병원균: Mycosphaerella nawae, 곰팡이♠ 피해수목: 감나무 ♠ 월동: 병든 낙엽에서 자낭각으로 월동 ♠ 영양부족, 건조피해 등으로 수세가 쇠약한 나무에 잘 발생한다. 피해 특징:감나무에서 피해가 가장 심한 병으로 5월 중하순부터 자낭포자 형태로 잎에 침입하며 8월 하순 이후에 병징이 나타나서 잎을 일찍 떨어뜨린다. 주로 잎에 발생하며, 드물게 감꼭지에도 발생한다. 병징 및 표징:처음에는 잎에 흑갈색 점무늬가 나타나고, 점점 확대되어 병반 내부는 갈색을 띠고 테두리는 흑자색을 띤 원형 병반이 된다. 원형 병반은 종종 서로 합쳐져 부정형으로 커지고, 10월 이후가 되면 잎 뒷면의 오래된 병반에는 작고 검은 점(자낭각)이 나타난다. 병원균은 병든 낙엽에서 자낭각으로 월동한다. 방제 방법:병.. 2024. 12. 4. 지의류(Lichen)에 의한 수목의 피해 ♠ 분류: 곰팡이(Fungi)와 조류(Algae)가 함께 사는 공생체 ♠ 형태: 균류와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엽상체 형성분포: ① 사막으로부터 혹한의 모래해변② 양분이 없는 바위 ③ 비옥한 토양 ④ 살아 있는 나뭇잎 ⑤ 열대에서부터 극지방⑥ 지구 상 거의 모든 환경에서 발견 종류:① 기질에 납작하게 붙어 있는 고착형 (crustose)② 식물의 잎을 닮았으며 기질에 느슨하게 붙어 있는 엽형 (foliose)③ 나뭇가지처럼 위로 뻗은 모양의 수지형 (fructicose) 특징: 대기오염, 특히 아황산가스나 불소에 민감, 대도시 주변 지역에는 서식하지 못함온대 및 열대 산림지역에서 수목에 서식하는 지의류는 외생성 지의류로서 식생의 중요한 부분 차지외생성 지의류는 대부분 남조류와 공생하므로 질소를 고정하여 산림.. 2024. 6. 18.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