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Gymnosporangium spp.
♠ 병원균: Gymnosporangium asiaticum / Gymnosporangium yamadae
♠ 곰팡이의 일종, 담자균류, 기주교대하는 이종기생성 녹병균, 기주교대하며 붉은별무늬병 유발
♠ 피해수목: 배나무, 사과, 모과나무, 명자꽃, 산사나무, 산당화, 야광나무, 윤노리나무 등 (장미과 수목)
♠ 중간기주: 장미과 수목
♠ 겨울포자세대 : 향나무류, 노간주나무
♠ 월동 : 향나무의 잎과 줄기 속으로 침입해 균사로 월동
피해:
이른 봄에 여러 종류의 향나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병으로, 4월에 비가 잦을 때 많이 발생한다.
향나무, 가이즈까 향나무에는 병환부의 잎만 변색되거나 말라죽을 정도로 큰 피해는 없지만 눈향나무는 심하면 굵은 가지가 말라죽기도 한다. 향나무 녹병균은 배나무, 사과나무, 모과나무 등의 여러 장미과 식물에 기주교대하면서 이들 나무에 피해가 큰 붉은별무늬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장미과 수목의 잎 앞면에는 붉은 반점이, 잎의 뒷면에는 흰색의 털모양 녹포자퇴가 다량으로 형성되므로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주며, 아울러 병든 잎은 일찍 떨어지므로 조경수목으로서의 미관적 가치가 크게 손상된다.
병징 및 표징:
2~3월경에 잎과 어린 가지에 길이 2~3mm 되는 삼각뿔 모양의 겨울포자퇴(암갈색 균체)가 한두 개씩, 또는 집단으로 무리 지어 나타난다. 4월에 비가 많이 오면 이들 겨울포자퇴는 크게 부풀어서 오렌지색의 젤리 모양을 띤다. 비가 멎으면 이들 겨울포자퇴는 바싹 말라 오그라든다.
병원균:
병원균으로는 Gymnosporangium 속에 속하는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으며 모두 곰팡이의 일종으로 담자 균류에 속한다. 이들은 모두 이종기생성 녹병균으로, 장미과에 속하는 중간기주식물들과 기주교대를 하며 생활사를 이어간다. 우리 주변에 가장 널리 분포하고 있는 향나무 녹병균은 다음과 같다.
Gymnosporangium asiaticum : 배나무, 모과나무, 명자나무 등에 발생
Gymnosporangium yamadae : 사과나무, 아그배나무 등에 발생
병환:
향나무 잎에 형성된 겨울포자퇴에 있는 겨울포자는 4월 초순~중순 비가 올 때 발아하여 담자포자를 만든다.
담자포자는 빗물과 바람에 의해 중간기주인 배나무, 모과나무, 사과나무, 명자나무 등에 옮겨가 잎, 잎자루, 열매 등을 감염하여 녹병정자와 녹포자를 만든다.
녹포자는 6~7월에 바람에 날려 다시 향나무로 옮겨와 햇잎을 감염하여 약 7~8개월간 잠복해 있다가 이듬해 2~3월에 겨울포자퇴를 만들어 생활사를 되풀이한다.
방제법:
1) 3~4월에 트리아디메폰 수화제, 훼나리 수화제 등을 10~15일 간격으로 2~3번 나무 전체에 골고루 뿌린다.
2) 향나무 부근에는 모과나무, 배나무, 사과, 명자꽃, 산사, 산당화, 윤노리나무 등 장미과 식물을 근접하여 식재하지 않도록 하며, 가능한 향나무와는 2㎞ 이상 떨어질 수 있도록 심어야 한다.
3) 향나무에는 4~5월과 7월에, 중간기주 수목에는 4월 중순부터 6월까지 붉은별무늬병 전용약제를 10일 간격으로 5~6회 살포한다.
4) 겨울포자퇴가 발생한 병환부는 제거한다.
출처:
[조경수 병해충도감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산림청> 산림보호> 병해충검색]
'병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우살이 (True mistletoes) (1) | 2025.02.04 |
---|---|
칠엽수 얼룩무늬병 (Leaf blotch of horse chestnut) (1) | 2025.01.22 |
산수유 점무늬병 (Cercospora leaf spot of Asiatic dogwood) (0) | 2024.12.12 |
산수유 두창병 (Spot anthracnose of Asiatic dogwood) (0) | 2024.12.12 |
감나무 둥근무늬낙엽병 (Circular leaf spot) (0) | 2024.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