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18

흰가루병 (Powdery mildew) ♠ 병원균: Erysiphe, Phyllactinia, Podosphaera, Sawadaea, Cystotheca 등 ♠ 분류: 자낭균아문> 각균강> 흰가루병균목 (모두 식물병원균, 절대 기생체) ♠ 분포: 한국, 전 세계 (열대, 온대지역) ♠ 피해수목: 참나무류, 밤나무, 단풍나무류, 포플러류, 배롱나무, 가중나무, 붉나무, 개암나무, 오리나무 등 활엽수류병징 및 병환:1) 묘포에서 많이 발생, 수목에서 치명적인 병은 아니지만, 발생하면 생육이 위축되고 외관을 나쁘게 한다. 2) 전 생육기를 통해 발생하나, 수종에 따라 발생시기가 다르다. 3) 대개 6~7월에 발생하여 장마철 이후 급격히 심해진다.4) 대체로 잎에 발생하지만 수종에 따라서는 어린 줄기와 열매에도 발생한다.5) 병든 잎은 흰가루를 뿌.. 2024. 6. 16.
배롱나무 흰가루병 (Powdery mildew of crape myrtle) ♠ 병원체: Erysiphe australiana♠ 분류: 곰팡이의 일종, 자낭균류♠ 피해수목: 배롱나무 (묘목, 어린나무)♠ 생육에는 별다른 피해를 주지 않으나 나무의 미관이 크게 손상됨♠ 월동: 병든 낙엽의 흰가루 병반 위에서 자낭구의 상태로 월동♠ 봄에 자낭구 안의 자낭포자 방출, 바람에 날려 새잎에 전파되어 1차 감염♠ 새로 생긴 흰가루 병반 위에 형성된 분생포자에 의한 2차 감염 (가을까지)피해:묘목과 어린나무에서 흔하게 발생한다.어린 가지와 잎 전체가 흰가루로 덮일 정도로 심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배롱나무의 가장 큰 병해로 알려져 있다.생육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때로는 꽃이 피지 않거나 피더라도 일찍 시들어버려 조경수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병징 및 표징:새잎이 나오는 5월 중순 .. 2024. 6. 15.
장미 검은무늬병 (Black spot of rose) ♠ 병원균: Diplocarpon rosae (불완전세대: Marssonina rosae) ♠ 분류: 곰팡이의 일종, 자낭균♠ 피해수목: 장미, Rosa속 식물, 전 생육기를 통해 묘목, 성목에서 모두 많이 발생♠ 장마철 이후에 피해가 심하나 봄비가 잦은 해에는 5~6월에도 심함♠ 월동: 병든 잎에서 자낭반의 형태로 월동, 이듬해 봄에 자낭포자가 비산하여 1차 전염원이 됨피해:병에 걸린 잎은 가볍게 건드려도 쉽게 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잎에 커다란 검은 병반이 생기고, 생육기간 중 계속 잎이 심하게 떨어지므로 나무의 미관이 크게 손상된다.나무의 수세도 상당히 약화되어 동해를 받기 쉽다. 비가 잦을 때 많이 발생한다. 병징 및 표징:봄에 새잎이 피면서부터 가을의 낙엽기까지 전 생육기간을 통해 발생한다. .. 2024. 6. 13.
철쭉류 잎녹병 (Rust) ♠ 학명: Rhododendron leaf rust♠ 분포: 한국, 유럽, 미국, 북동러시아, 중국 북부 등♠ 병원균: Chrysomyxa ledi var. rhododendri (=Chrysomyxa rhododendri)♠ 기주교대하는 이종기생성 녹병균♠ 피해수목: 진달래, 털진달래, 산철쭉, 가문비나무속 등 ♠ 중간기주: 가문비나무류 ♠ 철쭉류 잎: 여름포자, 겨울포자, 담자포자 ♠ 가문비나무 잎: 녹병포자, 녹포자♠ 월동 : 병원균은 감염된 가문비나무류의 잎조직 내에서 균사 상태로 월동피해:병에 걸린 잎은 대부분 일찍 떨어지므로 나무의 미관이 손상되고, 심하면 수세가 약해진다. 유럽지역에서는 철쭉 잎녹병균의 중간기주인 가문비나무류에서 그 피해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징 및 표징:5월 하순~6.. 2024. 6. 13.
느티나무 흰별무늬병 (Septoria leaf spot of zelkova) ♠ 학명: Septoria abeliceae Hirayama ♠ 병원체: Septoria abeliceae Hiray, 곰팡이(자낭균류)♠ 피해수목: 느티나무♠ 분포: 한국, 일본 ♠ 월동: 병든 낙엽의 병반에서 성숙한 분생포자각의 상태로 월동♠ 주로 묘목과 어린나무에 발생해서 생장과 나무의 미관을 저해한다.♠ 큰 나무에서는 지면에 가까운 아랫잎과 맹아지의 잎에 잘 발생. 피해는 비교적 경미하다.♠ 나무가 커지면서 지하고가 높아지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장마 끝 무렵부터 발생하기 시작해서 여름~초가을에 병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병징 및 표징:6월경부터 잎에 짙은 갈색의 미세한 반점들이 점점이 나타난다. 이들 반점은 점차 확대되면서 엽맥과 경계를 이룬 크기 3~5mm 정도 외는 흑갈색의 불규칙한 다각.. 2024. 5. 29.
흰가루병과 그을음병 비교 구분흰가루병그을음병병원균자낭균류, 흰가루병균목, 절대기생체부생성 외부착생균, 자낭균류(대부분), 불완전균류(일부) Erysiphe, Phyllactinia, Podosphaera, Sawadaea, CystothecaMeliolaceae, Asterinaceae, Parodiellinaceae, Capnodiaceae,  Dematiaceae월동병든 낙엽에서 자낭각의 형태로 월동, 이듬해 자낭포자가 비산하여 제1차 감염을 일으킴균사 또는 자낭각의 상태이듬해 전염원이 됨기주식물밤나무, 참나무류,  단풍나무류, 포플러류, 배롱나무류, 가중나무, 붉나무, 개암나무, 오리나무 등 활엽수류낙엽송, 소나무류, 주목, 버드나무, 동백나무, 사철나무, 후박나무, 식나무, 대나무 등피해생육위축, 미관저해, 심하면 가지마.. 2023.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