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131

고광나무 (Korean mock orange) 꽃이 매화꽃을 닮아 산매화라 부르는 고광나무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Philadelphus schrenkii ♠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층층나무목> 범의귀과> 고광나무속> 고광나무 ♠ 분포: 한국, 중국(동북부), 러시아(동부) ♠ 꽃: 4~6월 ♠ 열매: 9~10월 ♠ 크기: 2~4m ♠ 꽃말: 추억, 기품, 품격 ♠ 유래: 흰색꽃이 멀리서 보이는 외로운 빛, 고광(孤光) 혹은 무리로 피어 밤을 밝힌다는 의미 ♠ 고광나무는 우리나라 각처의 골짜기에서 자라는 낙엽 관목이다. ♠ 고광나무 꽃과 잎을 물속에서 비비면 꼭 비누처럼 향기가 나고 거품도 인다. 실제로 미국 인디언들은 예전에 고광나무를 이용해서 머리를 감았다고 한다. ♠ 고광나무의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 경우가 많은데, 어린.. 2024. 3. 2.
조록나무(학명: Distylium racemosum) 잎에 혹이 있는 조록나무 : 상록 활엽 교목♠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목련강> 조록나무목> 조록나무과> 조록나무 ♠ 분포 : 중국, 대만, 일본, 전라남도 완도, 제주도 ♠ 꽃 : 4~5월 ♠ 열매 : 11월 ♠ 크기 : 10~20m ♠ 꽃말 : 변하기 쉬운 사랑 ♠ 유래 : 잎이나 겨울눈에 조롱박 같은 충영이 달리는 특징에서 유래했다. 조록은 제주 말로 자루, 낭은 나무를 뜻한다.  ♠  조록나무에는 조록나무혹진딧물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곤충들이 기생하여 충영을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잎: 어긋나기, 두껍고 타원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광택이 나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잎자루 길이는 3~8mm이고 턱잎이 일찍 떨어진다. 붉나무처럼 앞에 충영이 잘 생긴다.꽃: 양성화, 꽃은 3~4월에 잎겨드랑.. 2024. 3. 1.
누리장나무(Harlequin glorybower) 누린내가 심하게 나는 누리장나무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 Clerodendrum trichotomum ♠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꿀풀목> 마편초과> 누리장나무속> 누리장나무 ♠ 분포 : 대만, 중국, 필리핀, 일본, 강원도 및 황해도 이남 전체 ♠ 꽃 : 8~9월 ♠ 열매 : 9~10월 ♠ 크기 : 2m ♠ 꽃말 : 깨끗한 사랑, 친애 ♠ 유래 : 나무 전체에서 누린내를 풍기는 나무라고 해서 '누리장나무'라고 부른다. ♠ 누리장나무의 어린잎, 꽃, 뿌리, 나무껍질, 열매를 약용으로 사용한다. 누리장나무로 달인 한약은 말라리아, 두통, 감기, 중풍, 이질, 반신불구, 고혈압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  ♠ 어린잎은 봄에 나물로 먹을 수 있고, 번식은 종자로 하거나 꺾꽂이로 한다... 2024. 2. 29.
히어리 (Korean winter hazel) 한국의 고유 특산종 히어리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 Corylopsis coreana ♠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군> 범의귀목> 조록나무과> 히어리 속> 히어리 ♠ 분포 : 전라남도 지리산, 백운산, 경기도 수원과 포천 백운산 지역 등 ♠ 꽃 : 3~4월 ♠ 열매 : 9~10월 ♠ 크기 : 2~4m ♠ 꽃말 : 봄의 노래 ♠ 이른 봄에 노란 꽃을 피우고 가을에 둥근 잎이 노랗게 물드는 한국 고유 특산종이다. ♠ 송광사 근처에서 처음 발견되었기 때문에 '송광납판화'라고도 부른다. ♠ 유래 1 : 지리산 부근 순천지방에 시오리(십오리十五里, 약 6km)마다 이 나무가 있다고 해서 시오리나무, 시어리, 히어리가 된 것이다. ♠ 유래 2 : '희다'라는 말에 근거한 '하야리', '허여리'에서 히어리가.. 2024. 2. 29.
후박나무 (common machilus) 후박엿을 만들어 먹을 수 있는 후박나무 : 상록 활엽 교목 ♠ 학명 : Machilus thunbergii♠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녹나무목> 녹나무과> 후박나무속> 후박나무 ♠ 분포 : 중국, 대만, 일본, 전라남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 꽃 : 5~6월 ♠ 열매 : 6~9월 ♠ 크기 : 20m ♠ 꽃말 : 모정 ♠ 유래 : 후박나무는 나무껍질이 두껍다 해서 두꺼울 후(厚), 클 박(朴) 후박나무라 붙여졌다. ♠ 후박나무껍질은 후박피라 해서 약이나 화장품 원료로 사용한다. ♠ 울릉도에서는 후박나무껍질의 진액과 열매를 오랫동안 약용하기 위해 엿으로 만들었는데 그것이 후박엿이다. 훗날 울릉도 후박엿이 육지에 알려지자 주민들이 너도나도 후박엿을 만들기 시작했고 이 때문에 후박나무는 수난을 당.. 2024. 2. 29.
무늬둥글레 (Polygonatum odoratum) 비짜루과 Asparagaceae 외떡잎식물/백합목/백합과/여러해살이풀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원산지: 한국 서식장소 : 산과 들 크기 : 높이 30∼60cm꽃말: 고귀한 봉사 일반 둥굴레 잎과 달리 잎 가장자리에 흰색 무늬가 얇게 들어가는 품종으로 꽃은 늦봄에 피고 약간의 향기가 난다. 키가 작기에 화단 앞부분에 식재해주면 좋다. 그늘지고 수분이 충분한 환경을 좋아한다. 강한 햇빛을 싫어하며, 무늬는 선선한 환경에서 진하게 나온다. 뿌리줄기는 땅속으로 옆으로 길게 뻗는다. 추위에 강한 반면 더위에는 약하다. 15~25℃에서 잘 자란다. 봄철에 어린잎과 뿌리줄기는 식용한다. 뿌리와 줄기는 강장·강정에도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는 노약자나 허약한 사람의 기운을 돕는 약재로 쓴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2024.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