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131

가침박달(Korean pearl bush) 실로 감아 꿰맨다는 ‘감치다’에서 유래한 가침박달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가침박달속 ♠ 분포: 일본, 중국, 러시아, 미국, 유럽 ♠ 국내분포: 평안남북도, 황해도, 경기도 해안가 및 함경북도,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 꽃: 4~5월 ♠ 열매: 7~8월 ♠ 크기: 높이 1~5m ♠ 꽃말: 청순, 순결, 숨겨진 아름다움♠ 유래: 열매는 깃봉 모양이고 끝은 오목하게 패여 있다. 씨방 여럿이 마치 바느질할 때 감치기를 한 것처럼 연결되어 있다.  '감치기'와 박달나무처럼 단단하다는 의미를 합친 '감치기 박달'이 변하여 가침박달이 되었다고 한다. ♠  자그마한 나무이며 .. 2024. 6. 6.
두충(eucommia bark) 잎을 찢어보면 거미줄 모양의 점액질 하얀 실이 보이는 두충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Eucommia ulmoides oliv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군> 쌍떡잎식물강> 가리아목> 두충과> 두충속> 두충 ♠ 원산지: 중국 ♠ 국내분포: 경기, 강원, 충북, 경북 등 전국 ♠ 꽃: 4~5월 ♠ 열매: 8~11월 ♠ 크기: 15~20m ♠ 꽃말: 가정의 행복과 평화 ♠ 유래: '두중'이라는 중국 사람이 두충의 껍질을 달여 먹고 득도했다는 일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야생에서는 멸종되었으나 나무껍질이 한약재로 사용되기 때문에 널리 재배된다. ♠ 두충 성분이 함유된 피로회복제가 있다. 약효가 좋아서 나무보다 약제가 먼저 고려시대에 수입이 되었다고 한다. 1927년 지금의 홍릉수목원에 두충이 맨 처.. 2024. 5. 30.
가죽나무 (Varnish tree) 어린 순을 먹을 수 없는 가짜 죽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 Ailanthus altissima  ♠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군> 쌍떡잎식물강> 무환자나무목> 소태나무과> 가죽나무 ♠ 분포 : 한국, 몽골, 중국, 일본, 유럽 등지에 분포 ♠ 국내분포 : 전국의 민가 인근 주변에 야생화되어 자람 ♠ 꽃 : 5~6월 ♠ 열매 : 9~10월 ♠ 크기 : 20m ♠ 꽃말 : 누명 ♠ 유래 : 참죽나무와 달리, 어린 순을 먹을 수 없는  '가짜 중(죽)나무'에서 가죽나무로 변한 것이다. ♠ 중국에서는 죄를 지어 동헌으로 끌려오면 '가죽나무 회초리로 저놈을 때려라'라고 했다고 한다. 과일나무는 과일이 열리므로 함부로 꺾을 수 없었고, 그 때문에 쓸모없이 키만 큰 가죽나무를 회초리로 사용했다고 한다. ♠ .. 2024. 5. 29.
층층나무 종류의 비교 (산수유, 산딸나무, 층층나무, 말채나무) 산수유, 산딸나무, 층층나무, 말채나무 비교  산수유산딸나무층층나무말채나무측맥4~5쌍 4~5쌍6~9쌍3~5쌍잎의 배열마주나기마주나기어긋나기마주나기잎모양달걀형~넓은달걀형달걀형~타원형 달걀형~넓은 타원형타원형~넓은 달걀형잎줄기짧다 아주 짧다아주 길다길다잎끝길게 뾰족 짧게 뾰족짧게 뾰족길게 뾰족꽃노란색꽃흰색꽃흰색꽃흰색, 연한 황백색 열매 긴타원형의 붉은열매 딸기모양의 붉은열매 둥근 흑자색열매 둥근 검은색열매 나무껍질비늘조각처럼 벚겨짐노목이 불규칙하게 벗겨짐세로로 얇게 갈라짐그물처럼 길게 갈라짐수피 갈색 어두운 적갈색 회갈색~회흑색 회갈색~흑갈색  ♠ 산수유 ♠ 산딸나무 ♠ 층층나무 ♠ 말채나무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 2024. 5. 22.
이팝나무 (Fringe Tree) 멀리서 보면 활짝 핀 꽃이 하얀 눈이 내린 것처럼 보이는 이팝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 Chionanthus retusus ♠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군> 꿀풀목> 물푸레나무과> 이팝나무속 ♠ 분포 : 한국, 중국(중남부), 일본(홋카이도와 규슈일부, 쓰시마섬), 타이완 ♠ 국내분포/자생지 : 중부  이남의 산야에 드물게 자람 ♠ 꽃 : 5월 ♠ 열매 : 10~11월 ♠ 크기 : 20m ♠ 꽃말 : 영원한 사랑 ♠ 유래 1 : 입하(入夏)에 꽃이 핀다고 하여 실제로 전라북도 일부 지방에서는 이팝나무를 '입하목', '이암나무'라 부른다. ♠ 유래2 : 소복한 꽃송이가 흰쌀밥(이밥)을 닮았다고 하여 '이밥나무'라고 부르다가 이팝나무로 변한 것이다. ♠ 꽃이 피는 모양을 보고, 그해 벼농사의 풍흉을.. 2024. 5. 8.
목련의 특징 비교 (일본목련, 함박꽃나무, 자목련, 목련, 백목련) 목련 종류의 특징 비교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 [꼬리에 꼬리를 무는 나무이야기] 2024.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