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131

졸참나무 (Jolcham oak) 잎과 열매가 참나무 중 가장 작은 졸참나무 : 낙엽 활엽 교목 ♠ 학명: Quercus serrata Murray♠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참나무목> 참나무과> 참나무속> 졸참나무♠ 분포: 한국, 히말라야, 일본, 대만, 중국 ♠ 국내분포: 전국에 분포, 주로 중부 이남의 해발고도가 낮은 산지♠ 꽃: 4~5월 ♠ 열매: 9~10월 ♠ 크기: 20~25m, 지름 1m ♠ 꽃말: 번영 ♠ 유래: 잎과 열매가 참나무 중에서 가장 작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 갈참나무에 비해 잎이 작고 뒷면이 희지 않으며, 안쪽으로 굽은 예리한 톱니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졸참나무는 벚꽃나무와 함께 당구대를 만드는 재료로 활용된다.잎: 어긋나기, 길이 2~19cm의 타원형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다.. 2024. 12. 6.
갈참나무 (Galcham oak) 늦가을까지 단풍잎을 달고 있는 가을 참나무 갈참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Quercus aliena Blume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참나무목> 참나무과> 참나무속> 갈참나무 ♠ 분포: 한국, 동아시아 남부, 중국, 일본 ♠ 국내 분포: 한반도 전역 및 전국의 표고 50~1,000m에서 자생♠ 꽃: 4~5월 ♠ 열매: 9~10월 ♠ 크기: 20~25m, 지름 1m ♠ 꽃말: 번영 ♠ 유래: 늦가을까지 단풍잎을 달고 있어서 '가을 참나무'라 하다가 갈참나무로 변한 것이다. ♠ 떡갈나무나 신갈나무에 비해 잎자루가 길며, 졸참나무에 비해서는 잎이 크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어 구별된다. ♠ 낮은 산에서 자란다.잎: 어긋나기, 거꿀 달걀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뾰.. 2024. 12. 5.
굴참나무 (Oriental cork oak) 껍질이 두꺼워 코르크 병마개로 사용되는 굴참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Quercus variabilis Blume♠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참나무목> 참나무과> 참나무속> 굴참나무♠ 분포: 한국(제주도를 제외한 전역) , 일본, 대만, 중국, 베트남, 티벳 ♠ 꽃: 4~5월 ♠ 열매: 다음 해 10월 ♠ 크기: 25~30m, 지름 1m♠ 꽃말: 번영 ♠ 유래: 굴참나무는 나무껍질이 두꺼워 코르크 재료로 이용하는데 세로로 골이 파져 있다. 이 때문에 골이 파인 참나무라는 뜻에서 골참나무라고 부르던 것이 굴참나무로 변한 것으로 추정된다. ♠ 상수리나무와 유사하지만 잎 뒷면이 회백색이며, 수피에 코르크가 발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 열매는 식용, 재목은 땔감, 껍질은 염료 또는 코.. 2024. 12. 5.
너도밤나무 (Engler’s beech) 우리나라에서는 울릉도에만 자란다는 너도밤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Fagus multinervis Nakai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참나무목> 참나무과>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 분포: 중국 내륙, 한국(경상북도 울릉군)♠ 꽃: 4~5월 ♠ 열매: 10월 ♠ 크기: 20~25m ♠ 꽃말: 번영, 창조♠ 유래: 잎이 밤나무 잎과 닮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최근의 연구에서 중국에 분포하는 Fagus engleriana 와 동일한 종임이 밝혀졌다. 주 분포지인 중국 중남부에서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울릉도에 분포한다는 사실이 식물지리학적으로 대단히 흥미로운 점이다.잎: 어긋나기, 달걀형 또는 달걀꼴 타원형이며, 밑부분은 둥글거나 평평하며, 가장자리는 톱니가 없고 물결 모양.. 2024. 12. 5.
양버즘나무(Bottonball) 전국적으로 가로수로 많이 심는 양버즘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Platanus occidentalis♠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프로테아목> 버즘나무과> 버즘나무속♠ 분포: 미국(원산지 북아메리카 동부), 한국(전국 식재) ♠ 꽃: 4~5월 ♠ 열매: 9~10월 ♠ 크기: 40~50m ♠ 꽃말: 천재, 특별한 재능, 수호신, 휴식, 용서, 화해마로니에, ♠ 유래: 줄기가 버짐이 핀 것처럼 얼룩덜룩하고, 서양에서 들여온 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플라타너스라고 불리우며 전국에 가로수 및 공원수로 식재된다.♠ 마로니에, 히말라야시더와 함께 세계 3대 가로수 수종으로 불린다.잎: 어긋나기, 가래잎이며, 3~5갈래로 갈라진다. 잎자루 밑부분이 부풀어 있으며, 이 속에 겨울눈이 .. 2024. 12. 4.
가래나무 (Manchurian walnut)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호두나무의 조상 가래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Juglans mandshurica♠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가래나무목> 가래나무과> 가래나무속♠ 분포:  한국(중부 이북),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아무르·우수리) ♠ 국내 분포: 소백산, 속리산 이북의 표고 500m를 중심으로 100~1,500m 사이의 산기슭과 계곡에 자생 ♠ 꽃: 5월 ♠ 열매: 9~10월 ♠ 크기: 15~20m ♠ 꽃말: 청춘의 기쁨♠ 유래 : 둘로 갈라진 씨가 농기구로 쓰이는 가래와 비슷하게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 중국이 원산지로 가래나무는 호두나무와 흡사하지만 잎 모양이 다르다. 잎: 어긋나기, 작은 잎이 5~9쌍인 홀수 깃모양겹잎이고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다. 작은 잎은.. 2024. 1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