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131

아왜나무 (Sweet viburnum) 잎이 두껍고 수분이 많아 방화수로 적합한 아왜나무 : 상록 활엽 교목♠ 학명: Viburnum odoratissimum Ker Gawl. ex Rümpler var. awabuki♠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인동과> 산토끼꽃목> 산분꽃나무속> 아왜나무♠ 분포: 한국(제주), 일본, 중국, 대만♠ 국내분포/자생지 : 남해안 및 제주도의 낮은 지대 숲 속 ♠ 꽃: 6~7월 ♠ 열매: 8~9월 ♠ 크기: 6~12m ♠ 꽃말: 지옥에 간 목사♠ 유래: 나무에 수분이 많아 불이 붙어도 거품이 빠져나와 잘 타지 않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아와부키'라고 부르는데, 이것이 아와나무를 거쳐서 아왜나무가 된 것이다.♠ 주로 정원수로 심으며, 불에 잘 타지 않고 잎에 윤기가 있기 때문에 방화용수나 생울타리.. 2024. 12. 17.
분꽃나무 (Korean spice viburnum) 분 냄새와 같은 향기가 나는 분꽃나무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Viburnum carlesii Hemsl.♠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산토끼꽃목> 연복초과> 산분꽃나무속> 분꽃나무♠ 분포: 한국, 일본(혼슈 이남), 중국 중부(안후이성)♠ 국내분포/자생지 : 전국의 햇빛이 잘 드는 낮은 산지 ♠ 꽃: 4~5월 ♠ 열매: 9~10월 ♠ 크기: 2~3m ♠ 꽃말: 수줍음♠ 유래: 꽃 모양이 '분꽃'과 비슷해서, 그리고 꽃에서 분 냄새와 같은 향기가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매우 국지적으로 분포해, 희귀 수종으로 분류하고 있다.꽃: 양성화, 4~5월에 가지 끝에 흰색 또는 연한 홍색 꽃이 모여 피며, 향기가 강하다.잎: 마주나기, 넓은 달걀형이며, 끝은 뾰족하고.. 2024. 12. 17.
참식나무 (Sericeous newlitsea) '진짜 식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진 참식나무 : 상록 활엽 교목♠ 학명: Neolitsea sericea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녹나무목> 녹나무과> 참식나무속> 참식나무 ♠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 국내분포/자생지: 울릉도, 제주도 및 서남해안 도서 지역♠ 꽃: 10~11월♠ 열매: 다음 해 10월♠ 크기: 10~15m♠ 꽃말: 변치않는 열정적인 사랑♠ 유래 : 참식나무는 '진짜 식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식나무는 층층나무과 식나무속이고, 참식나무는 녹나무과 참식나무속이다. 식나무와 참식나무는 과는 다르지만, 늘 푸른 나무라는 점과 같은 모양의 열매가 열린다는 점이 비슷하다.♠ 새잎은 황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아래로 처진다.♠ 새덕이와 유사하지만 잎이 보다.. 2024. 12. 16.
녹나무 (Camphor tree) 어린 가지와 새로 돋는 가지가 녹색을 띠는 녹나무 : 상록 활엽 교목♠ 학명: Camphora officinarum Nees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녹나무목> 녹나무과> 녹나무속> 녹나무♠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베트남♠ 국내분포/자생지: 제주도(나무)의 계곡부에 드물게 자람 ♠ 꽃: 5~6월 ♠ 열매: 10~11월 ♠ 크기: 수고 30m ♠ 꽃말: 신선♠ 유래: 어린 줄기와 새로 돋은 가지가 녹색을 띠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잎이나 가지를 증류하여, 장뇌라는 천연향료를 얻는다. 장뇌는 전통적으로 방충제 및 감염성 질병의 예방약으로 사용된다.잎: 어긋나기, 앝은 가죽질이고 자르면 향기가 난다. 잎 모양은 달걀형이고 끝은 길게 뾰족하고 밑부분은 쐐기형이며, 가장자리.. 2024. 12. 16.
비목나무 (Red-fruit spicebush) 이라는 가곡이 생각나는 비목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Lindera erythrocarpa Makino♠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녹나무목> 녹나무과> 생강나무속> 비목나무♠ 분포: 한국, 일본, 중국♠ 국내분포/자생지: 중부 이남(주로 나무)의 산지 ♠ 꽃: 4~5월 ♠ 열매: 9~10월 ♠ 크기: 15m ♠ 꽃말: 아픈 기억, 일편단심♠ 유래 1: 수피가 흰빛을 띠기 때문에, 백목(白木) 또는 보얀목이라 하다가 비목나무로 변한 것이다.♠ 유래 2: 비목나무는 말 그대로 단단한 돌 비석을 대신하는 나무로, 석(石)을 목(木)으로 바꾸어 비목나무로 붙여진 이름이다. ♠ 생강나무속의 교목들이 대부분이 상록성인데 비해, 비목나무는 낙엽성으로 추위에 강한 편이다.♠ '초연이 쓸고 간 .. 2024. 12. 14.
붓순나무 (Aniseed tree) 새순과 꽃봉오리가 붓처럼 생긴 붓순나무 : 상록 활엽 소교목♠ 학명 : Illicium anisatum L.♠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 오미자과> 붓순나무속> 붓순나무♠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아메리카 대륙 ♠ 국내분포/자생지: 남해안 일부 도서(진도,완도) 및 제주도의 숲 속에 드물게 자람♠ 꽃 : 3~4월 ♠ 열매 : 9~10월 ♠ 크기 : 2~5m ♠ 꽃말 : 일편단심 ♠ 유래: 새순과 꽃봉오리가 붓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 전체에 독성물질이 있으며, 특히 열매는 맹독성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 중국요리에 많이 이용되는 향신료인 팔각과 흡사하다. ♠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의 주원료로도 유명하다.잎: 어긋나기, 길이 5~10cm의 장타원형이다... 2024.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