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131

귀룽나무 (Bird cherry) 하얀 꽃이 뭉게구름 같은 귀룽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 Prunus padus L.♠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 귀룽나무♠ 분포 : 한국, 일본(북해도), 중국, 몽고, 시베리아, 유럽 등지♠ 국내분포/자생지 : 지리산 이북의 산지 계곡가에 비교적 흔하게 자람♠ 꽃 : 4~6월 ♠ 열매 : 7~9월 ♠ 크기 : 15m ♠ 꽃말 : 상념, 사색♠ 유래: 하얀 꽃이 마치 뭉게구름 같다고 하여 '구름나무'라고 부르다가 귀룽나무가 되었다.♠ 어린 가지를 꺾거나 껍질을 벗기면 특이한 냄새가 난다.♠ 한반도 중부 지역에 자생하는 낙엽 교목 중에서 새순이 가장 일찍 나온다.잎: 어긋나기, 긴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형이다. 잎자루 윗부분에 1쌍의 꿀샘이 있다.꽃: .. 2025. 1. 18.
고로쇠나무 (Mono maple) 뼈에 좋은 수액이 나오는 고로쇠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 Acer pictum Thunb. var. mono ♠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무환자나무목> 무환자나무과> 단풍나무속> 고로쇠나무 ♠ 분포 : 한국, 중국(남부를 제외한 전 지역), 일본(혼슈 이북) ♠ 국내분포/자생지 : 전국의 산지♠ 꽃 : 4~5월 ♠ 열매 : 9~10월 ♠ 크기 : 15~25m ♠ 꽃말 : 영원한 행복♠ 유래 : 뼈에 좋은 수액이 나오는 나무라서 골리수(骨利樹)로 불렀는데, 이것이 나중에 고로쇠로 변한 것이다. ♠ 울릉도에 자생하는 고로쇠나무는 내륙의 것보다 잎과 열매가 크다는 특징이 있어 예전에는 우산고로쇠라 불렀다. ♠ 같은 속이기에 얼핏 보면 단풍나무로 착각하기 쉬운 나무이다. 하지만 잎에.. 2025. 1. 17.
오동나무 (Korean paulownia) 딸을 낳으면 오동나무를 심어서 딸나무라 불렀다는 오동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 Paulownia coreana Uyeki♠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꿀풀목> 현삼과> 오동나무속> 오동나무♠ 분포 : 한국, 중국(중북부)♠ 국내분포/자생지 : 전국의 산야나 개활지에 야생화되어 자람♠ 꽃 : 4~5월♠ 열매 : 10~11월♠ 크기 : 15~20m♠ 꽃말 : 고상함♠ 유래 : 오(梧)는 '벽오동나무 오', 동(桐)은 '오동나무 동'이라는 한자로, '오동나무'를 뜻한다. ♠ 중국에서는 학술적인 의미에서 벽오동나무속(Firmiana)이 아닌 잎이 큰 큰 키나무를 桐이라 부르기도 한다. ♠ 예전에는 딸을 낳으면 오동나무를 심어 혼수를 대비하기도 했다. ♠ 오동나무는 빨리 자라므로 심은.. 2025. 1. 17.
벽오동나무 (Japanese varnish tree) 줄기가 푸른 오동나무 벽오동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 Firmiana simplex (L.) W.Wight♠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아욱목> 아욱과> 벽오동속> 벽오동나무♠ 분포 : 한국, 중국, 대만, 일본(오키나와)♠ 국내분포/자생지 : 전국의 공원 및 정원에 식재♠ 꽃 : 6~7월 ♠ 열매 : 10~11월 ♠ 크기 : 15m ♠ 꽃말 : 옛님, 사모, 그리움♠ 유래 : 오동나무와 비슷한데, 수피가 벽색(짙은 푸른빛)을 띤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현삼과의 오동나무와는 계통이 다른 나무이다.  ♠ 옛 문헌 속에 나오는 '동(桐)'은 오동나무가 아닌 벽오동을 지칭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봉황은 벽오동에 깃들어 살며 대나무 열매를 먹고 산다는 전설이 있다. 벽오동 심.. 2025. 1. 16.
개오동 (Chinese catalpa) 뜰에 심어두면 벼락이 피해 가는 나무 개오동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 Catalpa ovata G.Don♠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꿀풀목> 능소화과> 개오동속> 개오동♠ 분포 : 한국, 중국(중북부 원산), 일본♠ 국내분포/자생지 : 전국의 공원 및 정원, 주택 마당에 간혹 식재♠ 꽃 : 6~7월 ♠ 열매 : 9~10월 ♠ 크기 : 10~15m ♠ 꽃말 : 고상♠ 유래 : 오동나무와 비슷한데, 오동나무만큼 쓸모가 있는 나무가 아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 옛날부터 벼락이 피해 가는 나무라하여 뇌신목 이라 하여 신성시했다.♠ 열매가 노끈처럼 가늘고 길게 늘어진다. 그래서 노끈나무라고도 부른다. 열매가 오동나무와 두드러지게 다르다.♠ 열매가 이듬해에 꽃이 새로 필 때까지도 달.. 2025. 1. 16.
전나무 (Needle fir) 어린 열매에서 젖과 비슷한 흰 수지가 나오는 전나무 : 상록 교목♠ 학명 : Abies holophylla Maxim.♠ 분류: 식물계> 구과식물문> 구과식물강> 구과목> 소나무과> 전나무속> 전나무♠ 분포: 한국, 중국(북부, 동북부), 러시아 동부♠ 국내분포: 경기, 강원, 충북, 전남, 경북,경남 등지♠ 꽃 : 4~5월 ♠ 열매 : 10월 ♠ 크기 : 30m ♠ 꽃말 : 고상함♠ 유래 : 어린 열매에서 젖과 비슷한 흰 수지가 나온다고 하여, 젓나무라 하다가 전나무로 변한 것이다.♠ 구상나무나 분비나무에 비해 잎끝이 갈라지지 않고 뾰족하며 열매가 대형인 것이 다른 점이다.잎: 가지에 바늘잎이 입체적으로 돌려난다. 바늘잎은 뾰족하고 단단해서, 찔리면 아프다. 뒷면 주맥 양쪽에 백색의 기공선이 있다.꽃:.. 2025.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