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7

주홍날개꽃매미 (Spotted lanternfly) : 돌발해충 사무실 앞에서 우연히 만난 주홍날개꽃매미 성충 (일명 중국매미) ♠ 학명 : Lycorma delicatula ♠ 목명 : 노린재목(Hemiptera) ♠ 과명 : 꽃매미과(Fulgoridae) ♠ 속명 : 꽃매미속(꽃매미 속(Lycorma) ♠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베트남, 인도 ♠ 출현시기 : 연 1회 발생, 약충은 5월 초순, 성충은 7월 하순~8월 중순 ♠ 월동태 : 알로 월동 ♠ 피해수목 : 쉬나무, 가죽나무와 참죽나무, 포도나무 ♠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 흡즙성 점심식사 후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만난 주홍날개 꽃매미. 빨간 나방인가 했는데 처음 본 주홍날개꽃매미 성충이었다. 날아다닐 때 날개 밑부분이 진한 빨간색이라서 조금 놀랐다. 자세히 촬영하고 싶었지만 너무 빨리 뛰듯이 날아.. 2023. 7. 21.
붉은별무늬병 (Gymnosporangium asiaticum) 화성행궁에서 만난 붉은별무늬병 (녹병)♠ 피해수목: 모과나무, 명자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산사나무, 산당화, 야광나무, 윤노리나무 등 장미과수목♠ 중간기주: 향나무피해특징: 향나무와 기주 교대하는 이종 기생성 병으로 봄~초여름에 걸쳐 모과나무 등 장미과 수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병으로 잎의 뒷면과 열매에 회갈색의 털 같은 것이 지저분하게 무리 지어 돋아나고 심하게 낙엽이 지기 때문에 나무의 생육과 미관을 크게 해친다. 2~3월에 향나무류에서 형성된 겨울포자퇴의 담자포자가 빗물과 바람에 의해 장미과 수목으로 전염된다. 5~6월에 장미과 수목의 잎 등에서 형성된 녹포자는 바람에 날려 향나무로 옮겨가 새로 돋아난 잎을 감염시킨다.  병징 및 표징: 5월 중순경부터 모과나무의 잎 앞면에 지름 2~5mm 되.. 2023. 7. 19.
미국선녀벌레 (Citrus flatid planthopper) : 돌발해충 왕송호수에서 만난 미국선녀벌레 ♠ 학명: Metcalfa pruinosa ♠ 목명: 노린재목(Hemiptera) ♠ 아목: 매미아목(Auchenorrhyncha) ♠ 과명: 선녀벌레과(Flatidae) ♠ 원산지: 북아메리카 ♠ 분포: 한국(2009년에 처음 보고), 일본, 중국, 미국, 유럽, 러시아 ♠ 출현시기: 연 1회 발생, 약충 5∼7월경, 성충 7∼8월경 발생, 9월 산란 ♠ 월동태: 알로 월동 ♠ 피해수목: 감나무, 명자나무, 배나무, 아까시나무, 참나무류 등 많은 활엽수, 침엽수인 리기다소나무에서 피해 확인 ♠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흡즙성 피해 증상: 성충과 약충이 가지와 잎에서 집단으로 기생하며 수액을 빨아먹어 나무를 말라죽게 하고, 감로를 분비하고 2차적으로 부생성 그을음병이 유발.. 2023. 7. 18.
미국흰불나방 (Fall webworm) 왕송호수에서 만난 미국흰불나방 (feat.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미국흰불나방)♠ 학명: Hyphantria cunea♠ 목명 : 나비목(Lepidoptera)♠ 과명 : 태극나방과(Erebidae)♠ 원산지 : 북아메리카♠ 분포 : 한국(1958년 서울 용산 가로수에서 최초 발견), 일본, 유럽, 캐나다, 러시아, 멕시코, 미국♠ 출현시기 : 연 2~3회 발생, 성충은 5월 중순~하순, 7월 중순~하순, 8월 하순~9월 초순에 발생♠ 월동태 : 번데기로 월동♠ 피해수목 :  감나무, 단풍나무, 버즘나무, 벚나무류 등 활엽수 200여 종♠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 식엽성무더운 7월의 어느 날, 미국흰불나방 유충이 출몰한다는 소식을 듣고 왕송호수로 출발하였다.도착하자마자 발견한 미국흰불나방 유충. 200.. 2023. 7. 18.
갈색날개노린재 (Brown-winged green bug) 수원화성에서 처음 만난 갈색날개노린재 (feat. 성균관대학교 갈색날개노린재)♠ 학명: Plautia stali♠ 목명 : 노린재목(Hemiptera)♠ 과명 : 노린재과(Pentatomidae)♠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출현시기 : 연 2회 발생, 성충으로 월동♠ 피해수목 : 벚나무, 뽕나무, 삼나무, 편백, 참오동나무, 아왜나무등 다수♠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 흡즙성8월 21일 성균관대학교 헛개나무 열매에서 만난 갈색날개노린재 약충. 호기심 많은 직원이 곤충채집함에 넣어 사무실로 데려왔다. 처음에는 헛개나무 주위에 썩덩나무노린재 성충을 많이 발견해서 썩덩나무노린재 약충인 줄 알았다.썩덩나무노린재와는 모양이 확연히 다른데 좀 더 해충공부에 집중해야겠다.이틀 후인 8월 23일. 곤충채집통에서.. 2023. 7. 18.
갈색날개매미충 (Brown winged cicada) : 돌발해충 성균관대학교에서 만난 갈색날개매미충 ♠ 학명: Pochazia Shantungensis ♠ 목명: 노린재목(Hemiptera) ♠ 과명: 큰날개매미충과(Ricaniidae) ♠ 분포: 중국, 한국(침입) ♠ 출현시기: 연 1회 발생, 약충은 4-8월, 성충은 6-11월 ♠ 월동태: 알로 월동 ♠ 피해수목: 산수유, 감나무, 밤나무, 때죽나무, 단풍나무 등 다수 ♠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흡즙성 형태: 1) 알 : 유백색의 밥알 형태이며, 길이 1.24mm, 폭 0.55mm 크기의 알을 45도 각도로 두 줄로 산란하며, 가지를 파낸 톱밥과 흰색의 밀랍 물질을 혼합하여 난괴 윗부분을 덮어 놓는다. 2) 약충 : 1~5령까지 있으며, 령기별 길이는 각각 1.0, 2.1, 3.2, 6.5, 7.1mm 정도이.. 2023.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