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7

배롱나무 (Crape myrtle) : 백일홍 산책하다 만난 배롱나무 : 낙엽 활엽 소교목♠ 문: 현화식물문♠ 강: 쌍떡잎식물강♠ 목: 도금양목♠ 과: 부처꽃과♠ 속: 배롱나무속♠ 분포: 중국, 한국(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이남, 경기도 일부)♠ 꽃: 7~9월♠ 열매: 8~10월♠ 꽃말: 부귀, 떠나간 친구에 대한 회상♠ 국명: 배롱나무는 백일홍이라고도 한다. 배롱나무의 꽃이 한 번에 피고 지는 것이 아니고 여러 날에 걸쳐 번갈아 피고 져서 오랫동안 피어 있어 '백일홍'이라고 하는데, 개화기간이 100일 정도라는 의미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배기롱나무'를 거쳐 '배롱나무'로 변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화과의 '백일홍(백일초)'이라는 한해살이풀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또한 '간지럼나무'라고도 하는데 줄기를 손톱으로 긁으면 간지럼을 타는 듯 나무 전.. 2023. 8. 1.
나무의사 자격증 시험정보/시험일정/양성기관 나무의사 (Tree Doctor) 수목의 피해를 진단·처방하고, 그 피해를 예방하거나 진료를 담당하는 전문가 (처방전 발급) (산림보호법 제21조의 6 제1항에 따라 나무의사 자격증을 발급받은 사람) 나무의사 (Tree Doctor)가 되는 법 : "나무의사 양성기관"에서 일정기간(약 150시간) 교육 이수 후,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 ※ 나무의사 양성기관 자격요건: 수목진료 학과 졸업, 석사 또는 박사학위 취득자 및 국가기술자격 취득자 등 (국가기술자격 : 산림기술사, 조경기술사, 산림기사·산업기사, 조경기사·산업기사, 식물보호기사·산업기사) 기관명 홈페이지 모집공고일 교육비 서울대학교 식물병원 http://snupc.snu.ac.kr 8/11 (주말반, 50인) 192만원 (160시간) (사)한국수목보.. 2023. 7. 29.
철쭉류 떡병 / 철쭉류 민떡병 주위에 너무 흔하게 보이는 철쭉류 떡병을 만나다 ♠ 병원균 : Exobasidium japponicum, 곰팡이, 담자균류, 담자포자 및 분생포자 형성♠ 피해수목 : 철쭉류, 진달래류♠ 분포 : 전국♠ 월동 : 균사상태로 월동우리 주변에 흔하게 보이는 철쭉류 떡병. 나무 공부를 하기 전에는 봐도 무엇인지 모르고 지나갈 수 있는 병해들이 어느 순간 눈에 들어온다. 병에 걸린 잎모습이 마치 불에 구어 부풀어 오른 찰떡같다고 해서 '떡병'이라고 부른다고 한다.정말 너무 먹음직스러운 찰떡아이스 같기도... 이 병은 나무의 건강에 피해를 주기보다는 주로 미관을 해치기 때문에 미관훼손 식물병이라고 한다. 병징 및 표징: 5월 초순경부터 어린잎, 새순, 꽃망울의 일부 또는 전체가 두껍게 부풀어 오르면서 부드러운 다.. 2023. 7. 27.
느릅나무 검은무늬병 (Black spot of elm) 사무실 근처에서 우연히 만난 느릅나무 검은무늬병 (일명 느릅나무 탄저병)♠ 병원균 : Stegophora oharana (불완전세대: Asteroma oharanum),  곰팡이, 자낭균류, 자낭포자와 분생포자 형성♠ 피해수목 : 느릅나무, 참느릅나무, 비술나무 등 느릅나무속♠ 월동 : 자낭각상태로 월동점심식사 후 해충들을 찾아보려고 사무실 주변을 돌아다니다 발견한 느릅나무 검은무늬병.책에서 배운 거랑 너무 똑같아서 금방 알아볼 수 있었다.  주변을 살피면 살필수록 나무들이 점점 안쓰러워지고 있다. 지구 온난화에 날은 더워지고, 다양한 해충들과 병해들은 점점 늘어나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나무들이 짊어지는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나무가 건강히 잘 자라야  우리도 건강히 잘 살 텐데... 나무에 대한 공부를.. 2023. 7. 26.
노랑털알락나방 (Pryeria sinica Moore) 사철나무에서 만난 노랑털알락나방 ♠ 학명: Pryeria sinica Moore ♠ 목명 : 나비목(Hemiptera) ♠ 과명 : 알락나방과(Zygaenidae) ♠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 ♠ 출현시기 : 연 1회 발생 ♠ 월동태 : 알로 월동 ♠ 피해수목: 사철나무, 화살나무, 회잎나무 등 노박덩굴과 식물과 장미과식물 ♠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식엽성 사무실 근처 사철나무를 지나다 발견한 노랑털알락나방 유충. 이렇게나 가까이에 이런 해충들이 있다니. 늘 지나다니던 사철나무. 잎 뒷면을 자세히 본 적이 없어서 이런 해충들이 잎뒷면에 붙어있을 줄은 몰랐다. 너무나 열심히 식해하고 있는 해충들. 이러니 사철나무 잎들이 남아날 리가 없지. 4월에 발견한 유충, 5월에 발견한 탈피각, 이.. 2023. 7. 24.
회양목명나방 (Box tree pyralid moth) 화성행궁에서 만난 회양목명나방 유충 ♠ 학명: Glyphodes perpectails ♠ 목명 : 나비목(Hemiptera) ♠ 과명 : 명나방과(Fulgoridae) ♠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대만 ♠ 출현시기 : 연 2~3회 발생, 6~7월, 8~9월 ♠ 월동태 : 유충으로 월동 ♠ 피해수목 : 회양목 (단식성 해충) ♠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 식엽성 해충이라고는 거의 책에서만 보다가 처음으로 실물영접한 회양목명나방 유충. 우리 주위에 이렇게 해충들이 곳곳에 숨어있을 것이라고는 생각 못했는데 책에서만 보던 유충들이 실제로는 아주 많이 널려 있다. 너무 신기해서 밴치에 올려놓고 사진 한컷 !! 좀 징그럽긴 했지만, 공부하고 해충들을 살필수록 익숙해지는 것 같다. 이제는 벌레들이 조금.. 2023. 7.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