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

철쭉류 떡병 / 철쭉류 민떡병

by 나무를 읽다 2023. 7. 27.
반응형

주위에 너무 흔하게 보이는 철쭉류 떡병을 만나다 

♠ 병원균 : Exobasidium japponicum, 곰팡이, 담자균류, 담자포자 및 분생포자 형성

♠ 피해수목 : 철쭉류, 진달래류

분포 : 전국

♠ 월동 : 균사상태로 월동

철쭉류 떡병1철쭉류 떡병2
철쭉류 떡병3철쭉류 떡병4
<5월 25일 철쭉류 떡병>

우리 주변에 흔하게 보이는 철쭉류 떡병. 나무 공부를 하기 전에는 봐도 무엇인지 모르고 지나갈 수 있는 병해들이 어느 순간 눈에 들어온다. 병에 걸린 잎모습이 마치 불에 구어 부풀어 오른 찰떡같다고 해서 '떡병'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정말 너무 먹음직스러운 찰떡아이스 같기도... 이 병은 나무의 건강에 피해를 주기보다는 주로 미관을 해치기 때문에 미관훼손 식물병이라고 한다. 

 

병징 및 표징:

5월 초순경부터 어린잎, 새순, 꽃망울의 일부 또는 전체가 두껍게 부풀어 오르면서 부드러운 다육질의 혹을 만드는데, 그 모양은 불규칙하며 일정하지 않다. 혹은 처음에는 담녹색 내지 엷은 복숭아빛을 띠는데, 얼마 안 있어 흰 가루(담자포자 및 분생포자)로 뒤덮인다. 포자가 다 날아가면 혹은 흑갈색으로 변하면서 부패하거나 미라처럼 굳어진다. 이 병은 4~5월에 비가 많이 왔을 때 햇빛이 부족하고 통풍이 잘 안 되는 곳에서 잘 발생한다. 봄에 가물거나 또는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가을에 비가 많이 오면 9~10월에 겨울눈에 발생할 때도 있다.

 

병환:

5~6월경에 혹 표면의 자실충에 담자포자와 혼생하고 있는 분생포자가 바람 또는 튀어 흩어지는 빗물에 의해 주변의 나무로 전파되어 어린잎, 잎눈, 꽃눈을 침해한다. 병원균은 주로 아린의 조직 내에서 균사 상태로 여름과 겨울을 나고 봄에 혹을 형성한다.

 

방제법:

1) 혹 표면에 흰 가루가 나타나기 전에 일찍 혹을 제거해서 땅속에 묻는다.

2) 떡병이 자주 발생하는 곳에서는 잎눈이 트기 직전부터 트리아디메폰 수화제, 만코지 수화제 등을 10일 간격으로 3~4번 뿌린다.

3) 과습한 환경이 되지 않도록 배수관리를 잘한다.

4) 과밀한 가지들은 솎아내서 통풍과 채광이 잘 되도록 하고, 나무를 너무 밀식하지 않도록 한다.

왕송호수에서 만난 철쭉류 민떡병

♠ 병원균 : Exobasidium japponicum, 곰팡이, 담자균류

♠ 피해수목 : 철쭉류, 진달래류

 분포 : 전국

♠ 월동 : 담자포자와 분생포자

철쭉류 민떡병1철쭉류 민떡병2
<7월 6일 철쭉류 민떡병>

특징:

철쭉류 민떡병은 봄에 비가 많이 왔을 때, 햇빛이 부족한 곳에서 잘 발생하는데, 나무의 생육에 이렇다 할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심하게 발생하면 나무의 미관이 손상된다. 이 병은 비록 떡병균의 일종에 의해 발생하지만, 전형적인 떡병들처럼 병환부가 부풀어 오르지 않고 밋밋하다고 해서 민떡병이란 별명이 붙여졌다.

 

병징 및 표징:

5월 상순~6월 상순에 주로 아랫잎에 많이 발생한다. 처음에는 새로 피어난 어린잎의 앞면에 지름 3~10mm 되는 황록색~황백색의 둥근 병반이 나타나는데 건전부와의 경계는 또렷하지 한고 희미한 모습을 띤다. 한편, 병반의 뒷면은 흰 가루를 얇게 뿌려 놓은 것처럼 보이며 건전부와의 경계가 또렷하다. 잎 하나에 보통 1~수개의 병반이 생기며, 또 여러 개의 병반이 붙어서 불규칙한 모양이 되기도 한다. 병반 부위는 부풀어 오르지 않고 밋밋하며, 잎의 두께도 병반부와 건전부 사이에 차이가 없다. 초기의 황록색~황백색 병반은 곧 갈색으로 변하면서 잎은 말라죽는다.

 

병환:

병원균은 병반 뒷면의 자실층에 담자포자와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이들 담자포자와 분생포자는 바람 또는 빗물에 의해 전파되어 겨울눈에서 여름과 겨울을 나고 봄에 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짐작되자만, 포자의 침입에서부터 이듬해 봄의 발병에 이르기까지의 잠재양식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방제법:

1) 병의 발생 초기, 즉 병반의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기 전에 병든 잎을 따서 땅속에 묻거나 태운다.

2) 발병 직전부터 발병 말기에 걸쳐 동수화제를 10일 간격으로 3~4번 뿌린다.

3) 매년 심하게 발생하는 묘포에서는 돌려짓기를 한다. 또 너무 밀식하지 말고, 통풍과 채광이 잘 되도록 관리한다.

 

출처:

[조경수 병해충도감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