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2

히어리 (Korean winter hazel) 한국의 고유 특산종 히어리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 Corylopsis coreana ♠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군> 범의귀목> 조록나무과> 히어리 속> 히어리 ♠ 분포 : 전라남도 지리산, 백운산, 경기도 수원과 포천 백운산 지역 등 ♠ 꽃 : 3~4월 ♠ 열매 : 9~10월 ♠ 크기 : 2~4m ♠ 꽃말 : 봄의 노래 ♠ 이른 봄에 노란 꽃을 피우고 가을에 둥근 잎이 노랗게 물드는 한국 고유 특산종이다. ♠ 송광사 근처에서 처음 발견되었기 때문에 '송광납판화'라고도 부른다. ♠ 유래 1 : 지리산 부근 순천지방에 시오리(십오리十五里, 약 6km)마다 이 나무가 있다고 해서 시오리나무, 시어리, 히어리가 된 것이다. ♠ 유래 2 : '희다'라는 말에 근거한 '하야리', '허여리'에서 히어리가.. 2024. 2. 29.
후박나무 (common machilus) 후박엿을 만들어 먹을 수 있는 후박나무 : 상록 활엽 교목 ♠ 학명 : Machilus thunbergii♠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녹나무목> 녹나무과> 후박나무속> 후박나무 ♠ 분포 : 중국, 대만, 일본, 전라남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 꽃 : 5~6월 ♠ 열매 : 6~9월 ♠ 크기 : 20m ♠ 꽃말 : 모정 ♠ 유래 : 후박나무는 나무껍질이 두껍다 해서 두꺼울 후(厚), 클 박(朴) 후박나무라 붙여졌다. ♠ 후박나무껍질은 후박피라 해서 약이나 화장품 원료로 사용한다. ♠ 울릉도에서는 후박나무껍질의 진액과 열매를 오랫동안 약용하기 위해 엿으로 만들었는데 그것이 후박엿이다. 훗날 울릉도 후박엿이 육지에 알려지자 주민들이 너도나도 후박엿을 만들기 시작했고 이 때문에 후박나무는 수난을 당.. 2024. 2. 29.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1. 교육 목적: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은 건설일용근로자가 타 현장으로 이동할 때마다 받아야 하는 건설현장 단위의 채용 시 교육을 대체하여 건설업 차원에서 받도록 한 교육으로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낭비적 요소를 제거하고 안전보건공단에 등록한 전문교육시설에서 건설 근로자에게 꼭 필요한 기본적인 안전보건지식을 교육받을 수 있도록 시행하고 있는 제도 2. 교육의무 주체 : 일용근로자를 채용한 건설업 사업주 - 기초안전보건교육은 사업주 의무이므로 교육 소요비용은 사업주가 부담하여야 함 - 원도급업체는 법 제64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수급인이 근로자에게 하는 교육에 대한 지원의무 발생 3. 교육대상 법 적용일 이후 건설현장에 신규로 채용된 일용근로자 (채용 전 다른 현장에서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한 경우는 제외).. 2024. 2. 28.
해충 : 발생 횟수 1) 1년에 1회 발생하는 해충 대벌레류 선녀벌레류 잎벌(혹벌)류 (예외- 장미등에잎벌: 3회, 극동등에잎벌: 3~4회, 솔잎벌: 2~3회, 낙엽송잎벌: 3회) 거위벌레류 혹파리류 (예외- 아까시잎혹파리: 2~3회) 하늘소류 (예외-벚나무사향하늘소,뽕나무하늘소,미끈이하늘소,버들하늘소: 2년 1회) 나방류 (예외사항 참조) 풍뎅이류 잎벌레류 (예외- 두점알벼룩잎벌레: 1~2회) 나무이류 (예외- 큰팽나무이, 오갈피나무이: 2회, 돈나무이: 2~3회) 나무좀류 (예외- 오리나무좀: 2~3회) 무당벌레류 (예외-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3회) 바구미류 (예외- 밤바구미: 1회 또는 2년에 1회) 깍지벌레류 (예외- 소나무가루·주머니·식나무·사철·소나무굴·장미흰 깍지벌레: 2회, 벚나무·뽕나무·갈색·이세리아깍지.. 2024. 2. 28.
해충 월동태 : 알, 약충, 유충, 번데기, 성충 월동은 생물체가 겨울을 지내는 방식이다. 겨울을 지내는 문제는 생물체가 생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일이다. 겨울에 온도가 내려가고 눈이 많이 오는 등 생활환경이 나빠지고 먹이가 부족하므로 생물체가 겨울을 나는 것은 종족을 유지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생물체는 종 특이적 다양한 방식으로 월동한다. 나비 등의 곤충과 같이 1년에 한 세대 이상 나타나는 경우에는 어느 발육 단계에서 겨울을 보내느냐가 중요한 문제이다. 해충들도 알, 약충, 유충, 번데기, 성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월동한다. 이제부터 해충의 월동태에 대해 알아보자. 1) 알로 월동하는 해충 (대잎선진매매거) 대벌레류 (예외사항 없음) 잎말이나방류 (예외: 백송애기잎말이나방-번데기 월동, 솔애기잎말이나방-번데기 월동) 선녀벌레류 (예외사항 .. 2024. 2. 22.
무늬둥글레 (Polygonatum odoratum) 비짜루과 Asparagaceae 외떡잎식물/백합목/백합과/여러해살이풀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원산지: 한국 서식장소 : 산과 들 크기 : 높이 30∼60cm꽃말: 고귀한 봉사 일반 둥굴레 잎과 달리 잎 가장자리에 흰색 무늬가 얇게 들어가는 품종으로 꽃은 늦봄에 피고 약간의 향기가 난다. 키가 작기에 화단 앞부분에 식재해주면 좋다. 그늘지고 수분이 충분한 환경을 좋아한다. 강한 햇빛을 싫어하며, 무늬는 선선한 환경에서 진하게 나온다. 뿌리줄기는 땅속으로 옆으로 길게 뻗는다. 추위에 강한 반면 더위에는 약하다. 15~25℃에서 잘 자란다. 봄철에 어린잎과 뿌리줄기는 식용한다. 뿌리와 줄기는 강장·강정에도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는 노약자나 허약한 사람의 기운을 돕는 약재로 쓴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2024.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