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7

이팝나무 (Fringe Tree) 멀리서 보면 활짝 핀 꽃이 하얀 눈이 내린 것처럼 보이는 이팝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 Chionanthus retusus ♠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군> 꿀풀목> 물푸레나무과> 이팝나무속 ♠ 분포 : 한국, 중국(중남부), 일본(홋카이도와 규슈일부, 쓰시마섬), 타이완 ♠ 국내분포/자생지 : 중부  이남의 산야에 드물게 자람 ♠ 꽃 : 5월 ♠ 열매 : 10~11월 ♠ 크기 : 20m ♠ 꽃말 : 영원한 사랑 ♠ 유래 1 : 입하(入夏)에 꽃이 핀다고 하여 실제로 전라북도 일부 지방에서는 이팝나무를 '입하목', '이암나무'라 부른다. ♠ 유래2 : 소복한 꽃송이가 흰쌀밥(이밥)을 닮았다고 하여 '이밥나무'라고 부르다가 이팝나무로 변한 것이다. ♠ 꽃이 피는 모양을 보고, 그해 벼농사의 풍흉을.. 2024. 5. 8.
목련의 특징 비교 (일본목련, 함박꽃나무, 자목련, 목련, 백목련) 목련 종류의 특징 비교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 [꼬리에 꼬리를 무는 나무이야기] 2024. 3. 19.
백목련 (White magnolia, Yulan) 봄에 잎보다 먼저 꽃이 활짝 피는 백목련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 Magnolia denudata ♠ 분류 : 식물계> 현화식물문> 목련강> 목련과> 목련속 ♠ 분포 : 한국, 중국(원산지) ♠ 꽃 : 3~4월 ♠ 열매 : 5~9월 ♠ 크기 : 10m ♠ 꽃말 :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 유래 : 목(木) 련(蓮)은 나무에 피는 연꽃이라는 뜻이다. ♠ 꽃이 옥빛이어서 '옥란', 흰 꽃이 가지 가득 피어서 '흰가지꽃나무', 꽃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 꽃봉오리가 필 때 북쪽을 향한다고 '북향화'라고도 한다. ♠ 백목련은 꽃잎처럼 보이는 화피편이 9장이고, 잎보다 꽃이 먼저 핀다. 꽃잎과 꽃받침이 구별이 되지 않는다. ♠ 목련은 화피가 좁고 길쭉하며, 백목련은 화피가 넓고 크다. 목련은 꽃잎과 꽃받.. 2024. 3. 15.
2024년 벚꽃 개화시기 (feat. 웨더아이) 벚꽃 개화 어떻게 예측할까? 벚꽃 개화 시기는 2월과 3월 날씨의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높으면 빠르게 피는데, 특히 개화 직전의 기온 변화에 따라 그 시기는 크게 달라진다고 한다. 올해 벚꽃의 개화시기는 전국적으로 평년보다 1~7일 정도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평년보다 2~6일 정도 일찍 벚꽃이 피기 시작하겠고, 호남 및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평년보다 7일 빠른 시기에 벚꽃이 개화한다. 작년과 비교하면 남부지방은 작년보다 1~7일 늦겠고, 중부지방은 작년보다 5~9일 정도 늦은 시기에 벚꽃이 피기 시작한다. 벚꽃 개화 관측 기준은? 벚꽃의 개화일은 각 지역의 식물 계절 관측용 표준목을 기준으로 벚나무 한 그루 중 세 송이 이상이 완전히 피었을 때를 말한다. 군락지의 경우에는.. 2024. 3. 9.
버들꼬마잎벌레 (Willow Blue Leaf Beelte) 버드나무에서 발견한 버들꼬마잎벌레♠ 학명: Plagiodera versicolora ♠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딱정벌레목> 잎벌레과 ♠ 분포: 한국, 대만, 일본, 러시아(시베리아), 인도 ♠ 피해수목: 버드나무류, 포플러류, 오리나무 ♠ 발생횟수: 연 5~6회 발생 ♠ 월동태: 성충으로 월동 ♠ 가해습성에 따른 분류: 식엽성 해충 형태:성충의 몸길이는 4mm 내외이며 몸은 검은색이며 원형에 가깝고 날개는 광택이 있는 청남색이다. 알은 타원형이며 산란 초기에는 황백색을 띠나 차차 황색으로 변한다. 어린 유충은 등쪽에 검은 돌기가 있어 검게 보이며 노숙유충은 황백색이고 등쪽에 검은색인 줄무늬의 돌기가 있다.  피해:버드나무류의 중요한 해충으로 성충과 유충이 새잎을 식해 한다. 어린 유충과 종.. 2024. 3. 8.
일본납작진딧물 (Japanese flat aphid) ♠ 학명: Ceratovacuna japonica♠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노린재목> 진딧물아목> 진딧물과♠ 분포: 한국, 일본♠ 피해수목: 조릿대, 때죽나무♠ 여름기주: 조릿대 ♠ 겨울기주: 때죽나무♠ 발생횟수: 정확히 알려지지 않음 ♠ 월동태: 알로 월동 ♠ 가해습성에 따른 분류: 식엽성 해충 피해:여름기주인 조릿대에서는 흰색 밀랍으로 덮인 진딧물이 무리를 지어 앞 뒤에서 즙을 빨면 잎이 누렇게 변하고 심할 때는 말라 버린다. 관상용으로 심은 기주에 발생하여 밀도가 높아지면 잎의 색이 변하고, 옆으로 말리는 경우가 많다. 밀도가 높으면 부생성 그을음병의 발생으로 잎의 동화작용이 나빠진다. 월동 기주인 때죽나무에 5~6월 새순 부위에 바나나 모양의 혹을 형성하고 그 속에서 많은 수의 날개.. 2024. 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