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2

가래나무 (Manchurian walnut)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호두나무의 조상 가래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Juglans mandshurica♠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가래나무목> 가래나무과> 가래나무속♠ 분포:  한국(중부 이북),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아무르·우수리) ♠ 국내 분포: 소백산, 속리산 이북의 표고 500m를 중심으로 100~1,500m 사이의 산기슭과 계곡에 자생 ♠ 꽃: 5월 ♠ 열매: 9~10월 ♠ 크기: 15~20m ♠ 꽃말: 청춘의 기쁨♠ 유래 : 둘로 갈라진 씨가 농기구로 쓰이는 가래와 비슷하게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 중국이 원산지로 가래나무는 호두나무와 흡사하지만 잎 모양이 다르다. 잎: 어긋나기, 작은 잎이 5~9쌍인 홀수 깃모양겹잎이고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다. 작은 잎은.. 2024. 11. 22.
함박꽃나무 (Korean mountain magnolia) 커다란 꽃이 피는 함박꽃나무 : 낙엽 활엽 소교목♠ 학명: Magnolia sieboldii♠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목련목> 목련과> 목련속> 함박꽃나무♠ 분포: 중국, 일본♠ 국내분포: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 분포 ♠ 꽃: 5~6월 ♠ 열매: 9~10월 ♠ 크기: 7~10m ♠ 꽃말: 사랑의 고백, 애정♠ 유래 1: 목련속 나무이며, 함박꽃(작약꽃)과 비슷한 꽃을 피운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유래 2: 크고 화려한 꽃들은 마치 함박눈처럼 흩날리는 모습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유래 3: '함박'이란 통나무의 속을 파서 만든 '함지박'이란 바가지를 말하는데, 함박꽃은 꽃의 크기가 함박처럼 크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 북한에서는 '나무에 피는 난초꽃'이라는 뜻으로 목란(木.. 2024. 11. 22.
태산목 (Southern magnolia) 잎과 꽃이 다른 나무보다 훨씬 큰 나무 : 상록 활엽 교목♠ 학명: Magnolia grandiflora♠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목련목> 목련과> 목련속♠ 분포: 북아메리카; 남부지방에 식재♠ 국내분포: 공원수 및 정원수로 남부 지역과 제주도에 식재 ♠ 꽃: 5~7월 ♠ 열매: 10~11월 ♠ 크기: 20m ♠ 꽃말: 위엄♠ 유래 1: 높고 큰 산을 태산이라 하듯이, 잎과 꽃이 다른 나무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 유래 2: 태산목 종명 grandiflora도 '큰 꽃'이라는 뜻이다. ♠ 미국의 동남부가 원산인 태산목은 둥그스름한 잎의 길이가 거의 한 뼘이나 되고, 꽃은 두 손으로 감싸 쥐어도 남을 만큼 크다.♠ 상록성이며 어린 가지, 잎 뒷면, 잎자루 등에 갈색 털이.. 2024. 11. 21.
2024년 단풍시기 2024년 9월 29일 설악산 첫 단풍 시작웨더아이 뉴스에 따르면 2024년 첫 단풍시기는 평년보다 다소 느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9월 29일 설악산에서 첫 단풍이 시작되어, 중부지방에서는 10월 15~17일, 지리산과 남부지방에서는 10월 14~24일 사이에 첫 단풍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9월의 일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으며, 10월의 일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첫 단풍은 평년보다 늦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단풍시기는 다음과 같다. 2024년 주요산 단풍 예상시기산이름첫단풍 예상일절정기 예상일금강산09월 27일10월 17일설악산09월 29일10월 20일오대산10월 04일10월 17일북한산10월 16일10월 28일치악산10월 09일10월 23일월악산10월 15일1.. 2024. 9. 25.
느티나무 (Sawleaf zelkova) 마을 어귀의 정자나무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Zelkova serrata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느릅나무과> 느티나무속♠ 국내분포: 전국에 분포하며 주로 산지의 계곡부에 자람♠ 분포: 중국, 일본, 한국 ♠ 꽃: 4~5월 ♠ 열매: 10월 ♠ 크기: 30~40m ♠ 꽃말: 운명♠유래 1: 자라면서 줄기껍질이 일어나고 누르스름해져서 누르스름한 티를 내는 나무, 즉 '늙은 티'를 내는 나무라는 뜻♠유래 2: 괴목(槐木)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괴목은 본래 느티나무가 아니라 회화나무를 뜻한다. 느티나무가 꼭 회화나무를 닮았는데, 누렇다고 해서 누른 회나무 즉, 눌회나무라하다가 느티나무로 바뀌었다고 한다.♠ 어느 마을이나 마을 입구에는 커다란 느티나.. 2024. 7. 16.
코흐의 법칙 (koch's postulate) 조경수목의 진단과정조경수목은 다양한 환경에서 자라는 경우가 많고, 각종 인위적 피해를 포함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복합적 피해를 동시에 받을 수 있어 진단과정이 복잡한 편이다. 또한 수목은 다년생식물이므로 수년에 걸쳐 서서히 죽어 가거나 2~3년 전에 죽은 개체의 피해원인을 규명하는 경우도 있어 초기 발병시기를 정확히 진단하기가 쉽지 않고 이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필요하다.조경수목을 진단하는 과정은 체계적이고 논리적이어야 하는데, 다음과 같이 8단계로 나눌 수 있다. 피해 수목의 진단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수종명 규명 : 과명, 속명, 품종명을 통해 수목의 원산지, 생장특성, 관리법, 전염성병과 해충의 범위등을 알 수 있다. ② 병징 조사 : 정상적인 나무의 모양, 생장 패턴, 계절별 형태 변화를 .. 2024.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