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7

장미 검은무늬병 (Black spot of rose) ♠ 병원균: Diplocarpon rosae (불완전세대: Marssonina rosae) ♠ 분류: 곰팡이의 일종, 자낭균♠ 피해수목: 장미, Rosa속 식물, 전 생육기를 통해 묘목, 성목에서 모두 많이 발생♠ 장마철 이후에 피해가 심하나 봄비가 잦은 해에는 5~6월에도 심함♠ 월동: 병든 잎에서 자낭반의 형태로 월동, 이듬해 봄에 자낭포자가 비산하여 1차 전염원이 됨피해:병에 걸린 잎은 가볍게 건드려도 쉽게 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잎에 커다란 검은 병반이 생기고, 생육기간 중 계속 잎이 심하게 떨어지므로 나무의 미관이 크게 손상된다.나무의 수세도 상당히 약화되어 동해를 받기 쉽다. 비가 잦을 때 많이 발생한다. 병징 및 표징:봄에 새잎이 피면서부터 가을의 낙엽기까지 전 생육기간을 통해 발생한다. .. 2024. 6. 13.
철쭉류 잎녹병 (Rust) ♠ 학명: Rhododendron leaf rust♠ 분포: 한국, 유럽, 미국, 북동러시아, 중국 북부 등♠ 병원균: Chrysomyxa ledi var. rhododendri (=Chrysomyxa rhododendri)♠ 기주교대하는 이종기생성 녹병균♠ 피해수목: 진달래, 털진달래, 산철쭉, 가문비나무속 등 ♠ 중간기주: 가문비나무류 ♠ 철쭉류 잎: 여름포자, 겨울포자, 담자포자 ♠ 가문비나무 잎: 녹병포자, 녹포자♠ 월동 : 병원균은 감염된 가문비나무류의 잎조직 내에서 균사 상태로 월동피해:병에 걸린 잎은 대부분 일찍 떨어지므로 나무의 미관이 손상되고, 심하면 수세가 약해진다. 유럽지역에서는 철쭉 잎녹병균의 중간기주인 가문비나무류에서 그 피해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징 및 표징:5월 하순~6.. 2024. 6. 13.
모리츠잎혹진딧물 (잎 가장자리를 따라 충영형성) ♠ 학명: Tuberocephalus misakurae♠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노린재목> 진딧물과♠ 분포: 한국, 일본 ♠ 피해수목: 벚나무류 (수양벚나무)♠ 중간기주: 국화♠ 발생 횟수: 연 수회 발생 ♠ 월동태: 벚나무류 가지에서 알로 월동 ♠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충영형성 해충피해:성충과 약충이 잎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주머니 모양의 벌레혹 속에서 가해한다. 벌레혹은 담녹색, 황록색, 담적색을 띤다. 형태:간모는 몸길이가 약 1.9mm로 암녹색이다. 유시충은 몸길이가 약 1.4mm로 암갈색을 띤다. 무시충은 몸길이 1.5mm로 담황색이다. 생활사:연 수회 발생하며 수양벚나무의 가지에서 알로 월동한다. 간모가 4월 중순에 나타나서 벌레혹을 만들고 증식해 무시충과 약충이 나타난다.. 2024. 6. 12.
사사키잎혹진딧물 (잎 표면의 잎맥을 따라 충영형성) ♠ 학명: Tuberocephalus sasakii(Matsumura)♠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노린재목> 진딧물과♠ 분포: 한국, 일본♠ 피해수목: 벚나무류 (겹벚나무, 산벚나무, 수양벚나무, 앵두나무, 왕벚나무 등)♠ 중간기주: 쑥 ♠ 발생 횟수: 연 수회 발생 ♠ 월동태: 벚나무류 가지에서 알로 월동 ♠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충영형성 해충피해:벚나무 새눈에 기생하는 진딧물로 잎 표면의 잎맥을 따라서 주머니 모양의 벌레혹을 형성한다.벌레혹의 길이는 20mm, 폭은 8mm로 경화되어 있다.형성초기의 벌레혹은 황백색이나 성숙하면서 황록색∼홍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발견하기 쉽다.결국에는 갈색으로 말라 잎에 붙어 있어 미관을 해친다. 형태:무시태생 암컷의 몸길이는 1.6mm이고 전체적으로 .. 2024. 6. 12.
감나무주머니깍지벌레 ♠ 학명: Asiacorncoccus  ♠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노린재목> 주머니깍지벌레과 ♠ 분포: 한국, 중국, 일본 ♠ 피해수목: 감나무 ♠ 발생횟수: 연 3~4회 ♠ 월동태: 감나무의 가지 껍질 또는 낙엽에서, 암컷 성충의 주머니에 싸여 알 또는 어린 벌레로 월동 ♠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흡즙성형태: 암컷 성충과 약충은 붉은 갈색을 띠는데 흰색 또는 연노랑색의 엉성한 주머니에 덮여 있다. 수컷 성충의 주머니는 암컷보다 작은 편이고, 기다란 모양이며 흰색이다. 알은 붉은 갈색의 타원 모양이다.암컷은 몸길이가 약 2mm고 폭은 1.3mm 내외이다. 몸에는 원추형의 짤막한 가시털이 분포하고 가장자리에는 긴 원추형 가시털이 줄을 이루고 있다. 더듬이는 3~4마디로 1,2마디는 짧고 .. 2024. 6. 12.
붉나무혹응애 (Rhus eriophyiid mite) ♠ 학명: Aculops chinonei Huang♠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거미강> 응애목> 혹응애과♠ 분포: 한국, 일본♠ 피해수목: 붉나무 ♠ 발생 횟수: 연 수회 ♠ 월동태: 낙엽 된 벌레혹 안에서 성충 월동하는 것으로 추측 ♠ 가해습성에 따른 분류: 충영형성 해충피해: 혹응애가 기생하면 잎 표면과 뒷면이 사마귀 혹과 같이 변형이 생긴다. 많은 잎에 불규칙한 둥근 벌레혹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 성충의 발생밀도가 높으면 잎은 기형이 되고 말라죽게 된다. 봄에는 녹색을 유지하지만 여름이 지나면 벌레혹의 돌출 부위가 붉게 나타난다. 정상적인 잎과 비교하면 흉한 모습을 보여 미관을 해치게 된다. 형태:암컷성충은 몸길이가 약 0.15mm이며, 방추형으로 오렌지색을 띤다. 배판은 삼각형이고 배모는 배.. 2024. 6.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