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7

상수리나무 (Sawtooth oak) 임금님 수라상에 올랐다 하여 붙여진 상수리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Quercus acutissima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참나무목> 참나무과> 참나무속 ♠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인도,라오스,네팔 ♠ 국내분포: 함경남도를 제외한 전국의 표고 800m 이하의 양지바른 산기슭에 군생 ♠ 꽃: 4~5월 ♠ 열매: 다음 해 10월 ♠ 크기: 20~25m ♠ 꽃말: 번영 ♠ 유래 1: 임진왜란 때, 선조 임금의 수라상에 올렸다고 '상수라'라 하다가 상수리가 됨 ♠ 유래 2: 상수리나무 열매를 가리키는 한자어 상실(橡實:도토리나무)이 변한 것 ♠ 굴참나무와 유사하지만 잎 뒷면이 광택이 있는 연한 녹색이며, 수피에 코르크가 발달하지 않는 것이 다르다. ♠ 상수리나무는 성장이 빨.. 2024. 6. 19.
밤나무 (Korean castanea) 꽃에서 독특한 냄새가 나는 밤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Castanea crenata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참나무목> 참나무과> 밤나무속 ♠ 분포: 한국과 일본이 원산지, 대만 ♠ 꽃: 5~6월 ♠ 열매: 9~10월 ♠ 크기: 15m ♠ 꽃말: 호화로움, 정의, 공평, 포근한 사랑 ♠ 유래: 옛날에는 밤이 중요한 먹거리여서, '밥나무'라 부르다가 밤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 상수리나무 잎이나 굴참나무 잎과 비슷하지만 꽃과 열매가 달리면 쉽게 구분된다. ♠ 상수리나무 잎과 다른점은 밤나무 잎 가장자리 톱니의 끝까지 엽록소가 형성되어 톱니도 녹색을 띠는 점이 다르다. ♠ 꽃에서는 아주 진한 꽃향기가 나지만 약간 좋지 않은 냄새가 난다. ♠ 밤나무 열매는 한의사들이 율자라고 하.. 2024. 6. 18.
지의류(Lichen)에 의한 수목의 피해 ♠ 분류: 곰팡이(Fungi)와 조류(Algae)가 함께 사는 공생체 ♠ 형태: 균류와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엽상체 형성분포: ① 사막으로부터 혹한의 모래해변② 양분이 없는 바위 ③ 비옥한 토양 ④ 살아 있는 나뭇잎 ⑤ 열대에서부터 극지방⑥ 지구 상 거의 모든 환경에서 발견 종류:① 기질에 납작하게 붙어 있는 고착형 (crustose)② 식물의 잎을 닮았으며 기질에 느슨하게 붙어 있는 엽형 (foliose)③ 나뭇가지처럼 위로 뻗은 모양의 수지형 (fructicose) 특징: 대기오염, 특히 아황산가스나 불소에 민감, 대도시 주변 지역에는 서식하지 못함온대 및 열대 산림지역에서 수목에 서식하는 지의류는 외생성 지의류로서 식생의 중요한 부분 차지외생성 지의류는 대부분 남조류와 공생하므로 질소를 고정하여 산림.. 2024. 6. 18.
흰가루병 (Powdery mildew) ♠ 병원균: Erysiphe, Phyllactinia, Podosphaera, Sawadaea, Cystotheca 등 ♠ 분류: 자낭균아문> 각균강> 흰가루병균목 (모두 식물병원균, 절대 기생체) ♠ 분포: 한국, 전 세계 (열대, 온대지역) ♠ 피해수목: 참나무류, 밤나무, 단풍나무류, 포플러류, 배롱나무, 가중나무, 붉나무, 개암나무, 오리나무 등 활엽수류병징 및 병환:1) 묘포에서 많이 발생, 수목에서 치명적인 병은 아니지만, 발생하면 생육이 위축되고 외관을 나쁘게 한다. 2) 전 생육기를 통해 발생하나, 수종에 따라 발생시기가 다르다. 3) 대개 6~7월에 발생하여 장마철 이후 급격히 심해진다.4) 대체로 잎에 발생하지만 수종에 따라서는 어린 줄기와 열매에도 발생한다.5) 병든 잎은 흰가루를 뿌.. 2024. 6. 16.
배롱나무 흰가루병 (Powdery mildew of crape myrtle) ♠ 병원체: Erysiphe australiana♠ 분류: 곰팡이의 일종, 자낭균류♠ 피해수목: 배롱나무 (묘목, 어린나무)♠ 생육에는 별다른 피해를 주지 않으나 나무의 미관이 크게 손상됨♠ 월동: 병든 낙엽의 흰가루 병반 위에서 자낭구의 상태로 월동♠ 봄에 자낭구 안의 자낭포자 방출, 바람에 날려 새잎에 전파되어 1차 감염♠ 새로 생긴 흰가루 병반 위에 형성된 분생포자에 의한 2차 감염 (가을까지)피해:묘목과 어린나무에서 흔하게 발생한다.어린 가지와 잎 전체가 흰가루로 덮일 정도로 심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배롱나무의 가장 큰 병해로 알려져 있다.생육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때로는 꽃이 피지 않거나 피더라도 일찍 시들어버려 조경수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병징 및 표징:새잎이 나오는 5월 중순 .. 2024. 6. 15.
진달래방패벌레 (Azalea lace bug) ♠ 학명: Stepbanitis pyridides ♠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노린재목> 방패벌레과♠ 분포: 한국, 일본, 대만, 북아메리카♠ 피해수목: 진달래, 밤나무, 사과나무, 영산홍, 철쭉, 감나무 ♠ 발생 횟수: 연 4~5회 ♠ 월동태: 잎과 잎사이의 간격이나 낙엽 속에서 성충으로 월동 ♠ 가해습성에 따른 분류: 흡즙성피해:성충과 약충이 잎 뒷면에서 집단으로 기생하며 수액을 빨아먹어 잎 앞면이 하얗게 탈색되며, 잎 뒷면에 탈피각과 배설물이 붙어 있다. 잎 뒷면은 갈색으로 변색되고 식물의 경관이 깨끗하지 못하다. 형태:성충은 몸길이가 3.5mm 내외이다. 등쪽은 납작하고, 가슴 부분이 동그스름한 모양이다.몸 전체는 그물 모양의 맥상을 띠고, 날개의 맥상은 더 뚜렷해 보인다. 투명해 보.. 2024.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