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분 | 흰가루병 | 그을음병 | ||||
병원균 | 자낭균류, 흰가루병균목, 절대기생체 | 부생성 외부착생균, 자낭균류(대부분), 불완전균류(일부) | ||||
Erysiphe, Phyllactinia, Podosphaera, Sawadaea, Cystotheca |
Meliolaceae, Asterinaceae, Parodiellinaceae, Capnodiaceae, Dematiaceae | |||||
월동 | 병든 낙엽에서 자낭각의 형태로 월동, 이듬해 자낭포자가 비산하여 제1차 감염을 일으킴 | 균사 또는 자낭각의 상태 이듬해 전염원이 됨 |
||||
기주식물 | 밤나무, 참나무류, 단풍나무류, 포플러류, 배롱나무류, 가중나무, 붉나무, 개암나무, 오리나무 등 활엽수류 | 낙엽송, 소나무류, 주목, 버드나무, 동백나무, 사철나무, 후박나무, 식나무, 대나무 등 | ||||
피해 | 생육위축, 미관저해, 심하면 가지마름병으로 진전 |
광합성 방해, 관상가치 손상 | ||||
병징 · 표징 | 보통 6~7월 부터 발생, 장마철 이후 급증 대체로 잎에 발생, 수종에 따라 어린줄기와 열매에도 발생 병든잎은 흰가루를 뿌려 놓은 듯한 모습 병원균이 분생 및 분생포자를 집단으로 형성 균사일부는 표피를 뚫고 흡기를 형성하여 양분 탈취 |
보통 7월 중~하순부터 발생, 8~9월에 가장 많이 발생 기주특이성이 없고, 발병상황에 따라 균종도 다름 잎 앞면에 그을음을 발라 놓은 것처럼 검게 보임 기주식물 표면에 진딧물, 깍지벌레, 가루이 등 흡즙성 곤충의 분비물을 영양원으로하여 번성(부생성 외부착색균) |
||||
전반 | 기주표면 균사에서는 분생포자경 위에 분생포자 형성 2차 전염원으로서 새로운 잎을 계속 침해 |
그을음병균은 대부분 포자가 바람에 날려 전파 진딧물, 깍지벌레등의 분비물에 모인 개미,파리,벌에 전파 |
||||
방제법 | 병든낙엽 제거 늦가을, 이른봄에 자낭구가 붙은 어린가지 제거 발생초기에 적용살균제 수회 살포 묘포에서 심한발생시 예방위주 약제 방제 필수 통기불량, 일조부족, 질소과다 등의 발병요인 주의 |
발생초기에 스펀지 등으로 닦아냄 살충제 또는 수간주사하여 깍지벌레, 진딧물 등 방제 통풍, 채광 환경 개선 질소질비료 과용 금지 |
출처:
[수목병리학:향문사]
[산림청> 산림보호> 병해충검색]
반응형
'병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쭉류 잎녹병 (Rust) (0) | 2024.06.13 |
---|---|
느티나무 흰별무늬병 (Septoria leaf spot of zelkova) (0) | 2024.05.29 |
그을음병 (Sooty molds) (0) | 2023.12.10 |
사철나무 흰가루병 (Powdery mildew of euonymus) (0) | 2023.11.11 |
철쭉류 떡병 / 철쭉류 민떡병 (0) | 2023.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