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7

산딸나무 (Kousa dogwood) 꽃잎 같은 흰색 포엽이 아름다운 산딸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Cornus kousa ♠ 분류: 식물>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층층나무목> 층층나무과> 산딸나무 ♠ 분포: 한국(원산지), 일본, 중국 ♠ 꽃: 5~6월 ♠ 열매: 9~10월 ♠ 크기: 7~15m ♠ 꽃말: 희생 ♠ 꽃은 아주 작고 여러 송이가 뭉쳐 있어 잘 보이지 않지만, 꽃 보호조직인 흰색 포엽 4장이 아름다운 식물이다. ♠ 열매는 10월쯤 붉게 익으며, 과육에서 단맛이 나서 새들이 즐겨 먹는다. ♠ 미국산딸나무는 산딸나무와 형태적으로 비슷한데 총포 조각의 끝이 둥글고 파여 있으며 약간 붉은색을 띠어 차이가 있다. 미국에서는 산딸나무를 dog wood라 부르는데, 줄기 껍질이나 잎을 달인물이 개의 피부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 2023. 11. 17.
기주범위에 따른 구분 : 단식성 해충, 협식성 해충, 광식성 해충 1) 단식성 해충 : 한 종의 수목만 가해하거나 같은 속의 일부 종만 가해하는 해충. 줄마디가지나방 : 회화나무 회양목명나방 : 회양목 개나리잎벌 : 개나리 뽕나무명나방 : 뽕나무 제주집명나방 : 후박나무 밤나무혹벌 : 밤나무 구기자혹응애, 붉나무혹응애, 회양목흑응애, 향나무 잎응애 소나무혹응애, 혹응애류 자귀뭉뚝날개나방 : 자귀나무·주엽나무 솔껍질깍지벌레, 소나무가루깍지벌레, 소나무왕진딧물(왕진딧물류), 솔잎혹파리 : 소나무 소나무좀, 애소나무좀, 노랑애소나무좀 : 소나무 감나무주머니깍지벌레 : 감나무 뽕나무이 : 뽕나무 아까시잎혹파리 : 아까시나무 2) 협식성 해충 : 기주수목이 1~2개 과(family)로 한정되어 가해하는 해충 솔나방, 솔잎벌,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 광릉긴나무좀 참나무재주.. 2023. 11. 16.
천공성 해충 천공성 해충 : 식물의 줄기에 구멍을 뚫고 가해하는 해충 수목의 줄기나 가지에 산란된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수목의 목질부를 가해하거나, 성충이 줄기나 가지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가해하는 해충이다. 천공성 해충은 산림 내에서 쇠약한 수목을 가해하여 죽이는 분해자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수세가 쇠약한 생활권 수목을 가해하면 나무를 고사시킬 수 있는 매우 위험한 해충 군으로 건강한 나무를 공격하는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 쇠약한 나무를 공격하는 경우가 많다. 1. 벚나무 사향하늘소 (Aromia bungii) 2. 향나무하늘소 (Semanotus bifasciatus) 3. 솔수염하늘소 (Monochamus alternatus) 4. 북방수염하늘소 (Monochamus saltuarius) 5. 알락하늘소 6. .. 2023. 11. 16.
종실, 구과 해충 / 충영형성 해충 종실, 구과 해충 : 활엽수의 열매나 침엽수의 구과·종자를 가해하는 해충 생활권 수목이나 산림수종은 유실수에 비해 열매의 경제적인 가치가 적기 때문에 종실·구과 해충의 발생이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경제적으로 중요한 밤나무나 잣나무 등을 가해하는 해충이나 종자 생산을 위한 채종원의 종실·구과를 가해하는 해충은 방제가 필요하다. 1. 도토리거위벌레 (Cyllorhnchites ursulus quercuphillus) 2. 밤바구미 3. 대추애기잎말이나방 4. 복숭아명나방 (Conogethes punctiferalis) 충영형성 해충 : 벌레혹을 만드고 그 안에서 흡즙, 식해 하는 해충 가해를 받은 식물체 조직이 이상비대를 일으켜 벌레혹(충영)이 생기면 그 안에서 머물며 즙액을 흡즙 하는 해충이다. 진딧물류.. 2023. 11. 16.
흡즙성 해충 흡즙성해충 :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는 해충 즙액을 빨아먹는 해충은 빠는 형 입틀을 가지고 있어 수목의 조직 내에 빨대 형태의 입틀을 찔러 넣고 즙액을 빨아먹는다. 흡즙성 해충은 노린재목에 속하는 해충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노린재목 흡즙성 해충의 경우 가해 시 감로를 발생시켜 그을음병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아 피해를 진단하는데 도움이 된다. 1. 볼록총채벌레 2. 버즘나무방패벌레 (Corythucha ciliata) 3. 물푸레방패벌레 4. 후박나무방패벌레 5. 배나무방패벌레 6. 진달래방패벌레 (Stephanitis pyrioides) 7. 갈색날개노린재 8. 철쭉띠띤애매미충 9. 외점애매미충 10. 갈색날개매미충 (Pochazia shantungensis) 11. 선녀벌레 (Geisha distictis.. 2023. 11. 16.
식엽성 해충 식엽성 해충 : 잎을 가해하는 해충 수목의 잎을 갉아먹는 해충은 입틀이 씹는 형이고, 식물체를 먹이로 이용하며, 수목해충의 50% 정도를 차지할 만큼 많은 종류가 포함된다. 또한 돌발적으로 해충화되는 경우도 많다. 잎을 직접적으로 가해하기도 하지만, 잎을 말거나 묶어 은신처를 만들어 가해하기도 하며, 엽육사이에 터널을 뚫고 가해하는 등 가해양상도 다양하다. 1. 대벌레 (Ramulus irregulariterdentatus) 2. 주둥무늬차색풍뎅이 3. 곱추무당벌레 4.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5. 호두나무잎벌레 6. 버들잎벌레 7. 참긴더듬이잎벌레 8. 오리나무잎벌레 (Agelastica coerulea Baly) 9. 두점알벼룩잎벌레 10. 느티나무벼룩바구미 11. 잣나무별납작잎벌 : 잣나무넓적잎벌 (.. 2023.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