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7

사철나무 (Evergreen spindle) 사철 내내 잎이 초록초록한 사철나무 : 상록 활엽 관목♠ 학명: Euonymus japonicus♠ 목명: 노박덩굴목♠ 과명: 노박덩굴과♠ 속명: 화살나무속♠ 종명: 사철나무♠ 분포: 한국, 일본,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 꽃: 6~7월 ♠ 열매: 10~12월♠ 크기: 1~9m ♠ 꽃말: 변함없다, 변화 없다♠ 사철나무는 사철 내내 푸른 잎을 달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겨울에도 푸르다는 뜻으로 '동청'이라고도 한다. ♠ 학교와 공원, 산울타리, 방화수, 경계나무 등으로 많이 심는다. 가지치기로 모양을 다듬기 쉽기 때문에 정원수나 산울타리로 인기가 있다. 가지를 자르면 새 가지가 나와서 잘 자란다. ♠  사철나무라고 해서 잎이 늘 그대로 있는 것은 아니다. 이른 봄에 연한 새잎이 나고 묵은.. 2023. 11. 2.
수목치료기술자 교육기관 / 나무의사 교육기관 및 일정 수목치료기술자 (Tree Care Technician) 양성기관 및 모집일정기관홈페이지모집공고일모집인원수업방식교육비서울대 식물병원http://snupc.snu.ac.kr2024/1/2660명주말 (토,일)9시~18시228만원(190시간)2024/6/2160명평일 (월~금)9시~18시한국수목보호협회https://treedoctor.or.kr/2024년 총2회 예정 (모집공고는 교육시작 1개월전)신구대 식물원https://www.sbg.or.kr2024년 총2회 예정강원대 수목진단센터http://jindan.kangwon.ac.kr2024/4/135명금 18~22시토   9~18시190만원(190시간)충청북도 산림환경연구소https://www.chungbuk.go.kr/forest/index.do2024/2.. 2023. 11. 1.
2023년 단풍시기 / 단풍이 드는 이유 / 낙엽이 지는 이유 2023년 10월 1일 설악산 첫 단풍 예상 웨더아이 뉴스에 따르면 2023년 첫 단풍시기는 평년보다 다소 느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0월 1일 설악산에서 첫 단풍이 시작되어, 중부지방에서는 10월 19~20일, 지리산과 남부지방에서는 10월 20~28일 사이에 첫 단풍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23년 단풍시기는 다음과 같다. 2023년 주요산 단풍 예상시기 산이름 첫단풍 예상일 절정기 예상일 금강산 09월 27일 10월 17일 설악산 10월 1일 10월 23일 오대산 10월 6일 10월 20일 북한산 10월 14일 10월 30일 치악산 10월 19일 10월 24일 월악산 10월 20일 10월 27일 속리산 10월 20일 10월 30일 계룡산 10월 19일 10월 31일 팔공산 10월.. 2023. 9. 25.
꼬마독나방 (Euproctis pulverea) 여기산공원에서 만난 꼬마독나방 ♠ 학명: Euproctis pulverea ♠ 분류: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나비목 > 독나방과 > Euproctis ♠ 분포: 한국, 일본, 대만 ♠ 출현시기: 연 2회 발생 (5월, 7~8월) ♠ 피해수목: 채진목, 복숭아나무, 매실나무, 장미류, 귤나무류, 소귀나무, 사스레피나무 등 형태: 더듬이는 담황색인데, 수컷은 깃털모양이고, 암컷은 빗살이 짧은 빗살 모양으로 되어 있다. 암컷이 수컷에 비해 크기가 크며, 날개 및 몸은 대체로 황색을 띤다. 수컷의 앞날개 표면은 짙은 황색 바탕에 갈색 또는 흑갈색의 비늘 가루가 산포 되어 있다. 암컷의 앞날개 표면은 짙은 황색 바탕에 황갈색의 비을 가루가 덮여 있으며, 뒷날개는 담황색을 띠고 있다. 날개의 뒷면은 모두 담황색이.. 2023. 9. 23.
끝검은말매미충 (black-tipped leafhopper) 여기산공원에서 만난 끝검은말매미충 성충 ♠ 학명: Bothrogonia japonica Ishihara ♠ 분류: 곤충강 > 노린재목 > 큰별노린재과 ♠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대만, 인도 ♠ 월동태: 성충으로 월동 ♠ 피해수목: 오동나무, 벽오동, 귤, 배나무, 비파나무, 뽕나무류, 박태기나무, 벚나무, 무화과, 산딸기류, 복사나무, 사과나무, 등, 포도, 차나무, 감나무 등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13mm 정도이고 전체적으로 황록색이며 가슴의 등부분에 검은색 점이 있고 날개 끝이 검다. 생활사: 성충으로 월동하고 봄, 여름에 수관에 서식하면서 즙액을 흡수한다. 자세한 생활사는 밝혀져 있지 않다. 피해: 각종 수목 및 과수의 즙액을 흡즙 가해한다. 월동 전에 성충이 집단적으로 모여 흡즙 하며, 배.. 2023. 9. 23.
극동쐐기나방 (washington palm) 서호공원에서 만난 극동쐐기나방♠ 학명:  Thosea sinensis♠ 분류: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나비목 > 쐐기나방과♠ 분포: 국내분포 (경상북도, 서울, 전라남도)♠ 출현시기: 연 1회 발생 (7~9월)♠ 월동태: 유충 또는 번데기로 월동♠ 피해수목: 단풍나무, 버드나무, 층층나무, 참나무, 벚나무 등보도를 지나가다가 길 위에 있는 극동쐐기나방을 만났다. 어디를 가는 것인지 꼬물꼬물 지나가고 있는 극동쐐기나방.데려오자마자 며칠 만에 몸을 동그랗게 말더니 고치가 되어 버렸다. 유충은 몸에서 실을 뽑아 고치를 만든다고 한다.유충이나 번데기로 월동을 한다고 하니 내년 5월쯤에 성충이 되어서 만나볼 수 있을 것 같다.신기한 곤충의 세상이라니.... 형태:노숙 유충은 몸길이가 약 25mm로 녹색이며, 윗.. 2023.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