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7

나무의사 자격시험 시행 일정 및 1회~8회 과목별 평균점수 2023~2024년도 나무의사 자격시험 시행 일정 구분 접수기간 시험일자 제9회 나무의사 자격시험 2차 (실기) 2023년 9월 4일 ~ 9월 8일 2023년 10월 14일 제10회 나무의사 자격시험 1차 (필기) 2024년 1월 8일 ~ 1월 12일 2024년 2월 24일 2차 (실기) 2024년 6월 3일 ~ 6월 7일 2024년 7월 13일 ※ 자세한 사항은 '2024년도 나무의사 자격시험 시행계획(2023년 12월 1일 발표 예정)' 참고 1회~8회 나무의사 자격시험 과목별 평균점수 (단위: 점) 1) 2차 시험 1교시 시험 과목명: 수목피해 진단 및 처방 2) 2차 시험 2교시 시험 과목명: 수목 및 병충해의 분류, 약제처리와 외과수술 ⓐ 제1회 2차 시험의 경우 두 과목을 합산한 평균임 ⓑ 제.. 2023. 8. 30.
계수나무 (Katsura tree) 푸른 하는 은하수 하얀 쪽배엔 계수나무 한 나무 토끼 한 마리 : 낙엽 활엽 교목♠ 목: 범의 귀목♠ 과: 계수나무과♠ 속: 계수나무속♠ 분포: 한국(중부 이남)♠ 원산지: 일본♠ 꽃: 3~4월♠ 열매: 9~10월♠ 크기: 25~30m♠ 꽃말: 명예, 승리의 영광♠ 일본에서 자생하던 계수나무는 우리나라에 수입된 뒤 정원수로 널리 심어졌다. ♠ 계수나무의 특징은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다. 또한 가을이 되면 노란 단풍나무 잎 자루에서 설탕냄새가 난다.♠ 계수나무는 달에서 토끼 두 마리가 계수나무 밑에서 떡방아를 찧는다는 전래동화에 나온다. 하얀 쪽배는 초승달을 말하고 계수나무와 토끼는 달의 음영이 만들어낸 환영이라고 한다. 푸른 하는 은하수하얀 쪽배엔 계수나무 한 나무 토끼 한 마리돛대도 아니 달고 삿대도.. 2023. 8. 29.
노랑배허리노린재 (Plinachtus bicoloripes) 줄사철나무에서 만난 노랑배허리노린재♠ 목명: 노린재목♠ 과명: 허리노린재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출현시기: 7~10월♠ 피해수목: 화살나무, 사철나무, 줄사철나무, 나래회나무, 참빗살나무, 노린재나무♠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흡즙성사철나무에서 만난 노랑배허리노린재 약충과 성충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15mm 정도이고 몸빛깔은 등면이 균일한 흑갈색이다. 더듬이는 4마디로 되어 있으며 연한 갈색이다. 앞가슴등판의 옆가장자리는 옆판의 노란색 부분이 가늘게 보이고 작은 방패판은 거의 정삼각형 모양이다. 반딱지날개는 배 끝에 달하고 막질부는 연한 갈색이며 투명하다. 배는 황색 또는 황록색이며 검은 무늬가 있고, 각 가슴마디 및 배마디의 앞가장자리에 작은 검은색 점이 있다. 다리는 밑마디에서 넓적다리 마.. 2023. 8. 26.
화살나무(Burning bush spindeltree) 줄기에 화살모양 날개가 있는 화살나무 : 낙엽 활엽 관목♠ 문: 현화식물문♠ 강: 쌍떡잎식물강♠ 목: 무환자나무목♠ 과: 노박덩굴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만주, 우수리♠ 원산지: 한국♠ 꽃: 5~6월♠ 열매: 9~10월♠ 크기: 1~4m♠ 꽃말: 위험한 장난, 냉정♠ 화살나무는 잔가지에 달린 날개를 화살에 비유하여 '활의 살 같다'라고 해서 처음에는 '활살나무'라 하였으며 지금의 '화살나무'로 불리게 되었다.♠ 화살나무의 코르크 날개는 부드럽고 녹색의 어린줄기가 노루나 토끼의 먹이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만든 조직이라고 한다. 실제로 코르크에는 초식동물이 좋아하는 전분이나 당분이 없다.♠ 화살나무와 달리 가지에 날개가 없는 것은 회잎나무이다.잎: 마주나기 하며 잎자루가 짧고, 타원형 또는 달걀을.. 2023. 8. 26.
능소화 (Chinese trumpet creeper) 성균관대학교에서 만난 능소화 : 낙엽 활엽 덩굴성 (feat. 미국능소화)♠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과: 능소화과♠ 원산지: 중국♠ 꽃: 7~9월♠ 열매: 10월♠ 꽃말: 여성, 명예, 영광, 기다림, 그리움♠ 옛날에 장원급제한 사람의 화관에 꽂는 어사화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꽃의 자태가 고고하면서도 아름다웠기 때문이다. 또한 양반집에나 심는 꽃이었다고 하여 양반꽃이라고도 한다. 낙엽활엽 덩굴성 목본으로 금동화라고도 한다.♠ 능소화는 어느 후궁이 임금을 기다리며 평생을 보내다 죽은 뒤 피어난 꽃이라는 전설이 있다. 꽃은 줄줄이 등을 켜듯 차례로 핀다. 돌담이나 울타리에 한두 그루 심으면 타고 올라가 멋지게 자라난다.꽃: 7~9월경에 가지 끝에 원추형 꽃차례를 이루며, 5~15개가 주황색으로 .. 2023. 8. 22.
장수쐐기나방 (Green cochild) 성균관대학교 헛개나무에서 만난 장수쐐기나방 ♠ 학명 : Latoia consocia ♠ 목명 : 나비목 ♠ 과명 : 장수쐐기나방 ♠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시베리아 ♠ 출현시기 : 연 1~2회 ♠ 월동태 : 고치 속에서 전용으로 월동 ♠ 피해수목 : 감나무, 밤나무, 물푸레나무, 미루나무, 버드나무, 벚나무, 배나무, 사과나무, 유자나무 형태 : 유층은 황록색을 띠고 등면 중앙에는 푸른색인 세로선을 볼 수 있다. 또한 등면에 둥글고 잔 알갱이가 빽빽하게 돋아 잇다. 뒷가슴 등판에 검은색 반문이 2개 있다. 등판 중앙부의 외부에 혹 같은 부속기가 있는데 그 위에는 수많은 가시 돌기가 뭉쳐 있다. 몸에 난 자모의 돌기는 짧다. 비슷한 종인 Parasa lepida가 일본 시즈오카 서부지역에 분.. 2023.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