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0

애모무늬잎말이나방 (학명: Adoxophyes orana)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애모무늬잎말이나방 ♠ 분류: 절지동물문> 곤충강> 나비목> 잎말이나방과 ♠ 분포: 한국, 중국, 일본, 유라시아, 인도 ♠ 출현시기: 연 3회 발생 ♠ 월동태: 유충으로 월동 ♠ 피해수목: 종가시 나무, 차나무, 귤나무류, 미루나무, 버드나무, 가래나무, 자작나무, 밤나무, 느릅나무, 뽕나무, 장미, 찔레나무, 해당화, 사과나무, 양벚나무, 복사꽃나무, 매실나무, 유자나무, 동백나무, 송악, 진달래, 개나리 등 90여 종의 식물. ♠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식엽성 형태: 유충은 연한 황록색을 띠고 머리는 연황갈색이다. 가슴다리는 갈색이고 앞가슴등판은 황갈색이다. 성충은 발생형에 따라 성충의 색이 다르다. 차나무형은 옅은 황색을 띠고 상록활엽수를 가해하며, 과수형 성충은 연.. 2023. 11. 4.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다리가 톱처럼 생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 학명: Riptortus clavatus ♠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노린재목>호리허리노린재과 ♠ 분포: 한국, 일본, 대만, 중국 ♠ 출현시기: 연 2~3회, 1세대: 6월 하순~7월 하순, 2세대: 8월 상순~9월 중순 ♠ 월동태: 성충 월동 ♠ 피해수목: 콩과 작물, 벼과 작물 ♠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 흡즙성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1.5Cm이며, 몸은 적갈색 또는 흑갈색이고 변이가 심하다. 허리가 좁고 세 번째 다리가 발달되어 다리부위에 톱니모양의 가시가 달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성충은 14~17mm이고 폭은 2.5~3mm로 비교적 크다. 수컷은 머리와 가슴 측면에 검은 선이 있고, 황색의 불연속 무늬가 뚜렷하지만 암컷은 불명확하다... 2023. 11. 4.
주목 ( Rigid-branch yew) 붉은색의 나무 주목: 상록 침엽 교목♠ 학명: Taxus cuspidata♠ 목명: 구과목♠ 과명: 주목과♠ 속명: 주목속♠ 종명: 주목♠ 분포: 한국(경기, 강원, 충북, 전남, 전북, 경남, 제주), 일본, 중국 동북부, 극동러시아 ♠ 꽃: 4월 ♠ 열매: 8~9월♠ 크기: 15~20m ♠ 꽃말: 고상함, 비애, 죽음♠ 줄기가 붉은 나무라고 해서 주(朱)목(木)이라고 한다. 나무줄기가 오래되면 껍질이 벗겨지고 붉어진다.♠ 목재는 결이 곱고 아름답기 때문에 조각재, 가구재로 쓰인다.♠  주목은 1000년을 넘게 살 수 있고, 죽어도 잘 썩지 않고, 속이 비어도 몸통이 오랫동안 남는다고 한다. 붉은 줄기가 나쁜 기운을 쫓는다고 해서 집 뜰이나 무덤 둘레에 심기도 한다.♠ 강원도 정선군 사북읍 두위봉에 있.. 2023. 11. 3.
사철나무 (Evergreen spindle) 사철 내내 잎이 초록초록한 사철나무 : 상록 활엽 관목♠ 학명: Euonymus japonicus♠ 목명: 노박덩굴목♠ 과명: 노박덩굴과♠ 속명: 화살나무속♠ 종명: 사철나무♠ 분포: 한국, 일본,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 꽃: 6~7월 ♠ 열매: 10~12월♠ 크기: 1~9m ♠ 꽃말: 변함없다, 변화 없다♠ 사철나무는 사철 내내 푸른 잎을 달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겨울에도 푸르다는 뜻으로 '동청'이라고도 한다. ♠ 학교와 공원, 산울타리, 방화수, 경계나무 등으로 많이 심는다. 가지치기로 모양을 다듬기 쉽기 때문에 정원수나 산울타리로 인기가 있다. 가지를 자르면 새 가지가 나와서 잘 자란다. ♠  사철나무라고 해서 잎이 늘 그대로 있는 것은 아니다. 이른 봄에 연한 새잎이 나고 묵은.. 2023. 11. 2.
수목치료기술자 교육기관 / 나무의사 교육기관 및 일정 수목치료기술자 (Tree Care Technician) 양성기관 및 모집일정기관홈페이지모집공고일모집인원수업방식교육비서울대 식물병원http://snupc.snu.ac.kr2024/1/2660명주말 (토,일)9시~18시228만원(190시간)2024/6/2160명평일 (월~금)9시~18시한국수목보호협회https://treedoctor.or.kr/2024년 총2회 예정 (모집공고는 교육시작 1개월전)신구대 식물원https://www.sbg.or.kr2024년 총2회 예정강원대 수목진단센터http://jindan.kangwon.ac.kr2024/4/135명금 18~22시토   9~18시190만원(190시간)충청북도 산림환경연구소https://www.chungbuk.go.kr/forest/index.do2024/2.. 2023. 11. 1.
2023년 단풍시기 / 단풍이 드는 이유 / 낙엽이 지는 이유 2023년 10월 1일 설악산 첫 단풍 예상 웨더아이 뉴스에 따르면 2023년 첫 단풍시기는 평년보다 다소 느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0월 1일 설악산에서 첫 단풍이 시작되어, 중부지방에서는 10월 19~20일, 지리산과 남부지방에서는 10월 20~28일 사이에 첫 단풍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23년 단풍시기는 다음과 같다. 2023년 주요산 단풍 예상시기 산이름 첫단풍 예상일 절정기 예상일 금강산 09월 27일 10월 17일 설악산 10월 1일 10월 23일 오대산 10월 6일 10월 20일 북한산 10월 14일 10월 30일 치악산 10월 19일 10월 24일 월악산 10월 20일 10월 27일 속리산 10월 20일 10월 30일 계룡산 10월 19일 10월 31일 팔공산 10월.. 2023.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