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0

느릅나무 검은무늬병 (Black spot of elm) 사무실 근처에서 우연히 만난 느릅나무 검은무늬병 (일명 느릅나무 탄저병)♠ 병원균 : Stegophora oharana (불완전세대: Asteroma oharanum),  곰팡이, 자낭균류, 자낭포자와 분생포자 형성♠ 피해수목 : 느릅나무, 참느릅나무, 비술나무 등 느릅나무속♠ 월동 : 자낭각상태로 월동점심식사 후 해충들을 찾아보려고 사무실 주변을 돌아다니다 발견한 느릅나무 검은무늬병.책에서 배운 거랑 너무 똑같아서 금방 알아볼 수 있었다.  주변을 살피면 살필수록 나무들이 점점 안쓰러워지고 있다. 지구 온난화에 날은 더워지고, 다양한 해충들과 병해들은 점점 늘어나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나무들이 짊어지는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나무가 건강히 잘 자라야  우리도 건강히 잘 살 텐데... 나무에 대한 공부를.. 2023. 7. 26.
노랑털알락나방 (Pryeria sinica Moore) 사철나무에서 만난 노랑털알락나방 ♠ 학명: Pryeria sinica Moore ♠ 목명 : 나비목(Hemiptera) ♠ 과명 : 알락나방과(Zygaenidae) ♠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 ♠ 출현시기 : 연 1회 발생 ♠ 월동태 : 알로 월동 ♠ 피해수목: 사철나무, 화살나무, 회잎나무 등 노박덩굴과 식물과 장미과식물 ♠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식엽성 사무실 근처 사철나무를 지나다 발견한 노랑털알락나방 유충. 이렇게나 가까이에 이런 해충들이 있다니. 늘 지나다니던 사철나무. 잎 뒷면을 자세히 본 적이 없어서 이런 해충들이 잎뒷면에 붙어있을 줄은 몰랐다. 너무나 열심히 식해하고 있는 해충들. 이러니 사철나무 잎들이 남아날 리가 없지. 4월에 발견한 유충, 5월에 발견한 탈피각, 이.. 2023. 7. 24.
회양목명나방 (Box tree pyralid moth) 화성행궁에서 만난 회양목명나방 유충 ♠ 학명: Glyphodes perpectails ♠ 목명 : 나비목(Hemiptera) ♠ 과명 : 명나방과(Fulgoridae) ♠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대만 ♠ 출현시기 : 연 2~3회 발생, 6~7월, 8~9월 ♠ 월동태 : 유충으로 월동 ♠ 피해수목 : 회양목 (단식성 해충) ♠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 식엽성 해충이라고는 거의 책에서만 보다가 처음으로 실물영접한 회양목명나방 유충. 우리 주위에 이렇게 해충들이 곳곳에 숨어있을 것이라고는 생각 못했는데 책에서만 보던 유충들이 실제로는 아주 많이 널려 있다. 너무 신기해서 밴치에 올려놓고 사진 한컷 !! 좀 징그럽긴 했지만, 공부하고 해충들을 살필수록 익숙해지는 것 같다. 이제는 벌레들이 조금.. 2023. 7. 22.
주홍날개꽃매미 (Spotted lanternfly) : 돌발해충 사무실 앞에서 우연히 만난 주홍날개꽃매미 성충 (일명 중국매미) ♠ 학명 : Lycorma delicatula ♠ 목명 : 노린재목(Hemiptera) ♠ 과명 : 꽃매미과(Fulgoridae) ♠ 속명 : 꽃매미속(꽃매미 속(Lycorma) ♠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베트남, 인도 ♠ 출현시기 : 연 1회 발생, 약충은 5월 초순, 성충은 7월 하순~8월 중순 ♠ 월동태 : 알로 월동 ♠ 피해수목 : 쉬나무, 가죽나무와 참죽나무, 포도나무 ♠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 흡즙성 점심식사 후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만난 주홍날개 꽃매미. 빨간 나방인가 했는데 처음 본 주홍날개꽃매미 성충이었다. 날아다닐 때 날개 밑부분이 진한 빨간색이라서 조금 놀랐다. 자세히 촬영하고 싶었지만 너무 빨리 뛰듯이 날아.. 2023. 7. 21.
붉은별무늬병 (Gymnosporangium asiaticum) 화성행궁에서 만난 붉은별무늬병 (녹병)♠ 피해수목: 모과나무, 명자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산사나무, 산당화, 야광나무, 윤노리나무 등 장미과수목♠ 중간기주: 향나무피해특징: 향나무와 기주 교대하는 이종 기생성 병으로 봄~초여름에 걸쳐 모과나무 등 장미과 수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병으로 잎의 뒷면과 열매에 회갈색의 털 같은 것이 지저분하게 무리 지어 돋아나고 심하게 낙엽이 지기 때문에 나무의 생육과 미관을 크게 해친다. 2~3월에 향나무류에서 형성된 겨울포자퇴의 담자포자가 빗물과 바람에 의해 장미과 수목으로 전염된다. 5~6월에 장미과 수목의 잎 등에서 형성된 녹포자는 바람에 날려 향나무로 옮겨가 새로 돋아난 잎을 감염시킨다.  병징 및 표징: 5월 중순경부터 모과나무의 잎 앞면에 지름 2~5mm 되.. 2023. 7. 19.
미국선녀벌레 (Citrus flatid planthopper) : 돌발해충 왕송호수에서 만난 미국선녀벌레 ♠ 학명: Metcalfa pruinosa ♠ 목명: 노린재목(Hemiptera) ♠ 아목: 매미아목(Auchenorrhyncha) ♠ 과명: 선녀벌레과(Flatidae) ♠ 원산지: 북아메리카 ♠ 분포: 한국(2009년에 처음 보고), 일본, 중국, 미국, 유럽, 러시아 ♠ 출현시기: 연 1회 발생, 약충 5∼7월경, 성충 7∼8월경 발생, 9월 산란 ♠ 월동태: 알로 월동 ♠ 피해수목: 감나무, 명자나무, 배나무, 아까시나무, 참나무류 등 많은 활엽수, 침엽수인 리기다소나무에서 피해 확인 ♠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흡즙성 피해 증상: 성충과 약충이 가지와 잎에서 집단으로 기생하며 수액을 빨아먹어 나무를 말라죽게 하고, 감로를 분비하고 2차적으로 부생성 그을음병이 유발.. 2023.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