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2

박태기나무 (Chinese redbud) 밥알 모양과 비슷한 꽃이 피는 박태기나무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Cercis chinensis Bunge♠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콩목> 콩과> 박태기나무속> 박태기나무♠ 분포: 한국, 중국(중남부)♠ 국내분포/자생지: 조경용으로 전국에 식재♠ 꽃: 4월 ♠ 열매: 9~10월 ♠ 크기: 3~5m ♠ 꽃말: 우정, 의혹, 형제애♠ 유래: 꽃 모양이 밥알을 튀긴 것과 닮아서 밥티기라 하다가, 박태기가 되었다고 한다.♠ 동글동글한 꽃 모양을 보고, 북한에서는 꽃구슬나무라고 한다.♠ 잎이 심장형이고 엽맥은 장상이며 꽃이 홍자색으로 오래된 가지에 모여 달리는 것이 특징이다.♠ 개화기의 박태기나무는 줄기를 뒤덮듯이 꽃이 만개한다.잎: 어긋나기, 전형적인 하트 모양이며, 톱니는 없다. 잎자.. 2024. 12. 19.
병꽃나무 (Korean weigela) 꽃봉오리가 호리병 모양을 닮은 병꽃나무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산토끼꽃목> 인동과> 병꽃나무속> 병꽃나무♠ 분포: 한국(한반도 고유종)♠ 국내분포/자생지: 전국의 산지 ♠ 꽃: 5~6월 ♠ 열매: 10~11월 ♠ 크기: 2~3m ♠ 꽃말: 전설♠ 유래: 꽃봉오리가 호리병 모양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꽃색은 황록색에서 차츰 붉은색으로 변해간다.♠ 붉은병꽃나무에 비해 식물체 전체에 털이 많으며, 꽃이 황록색으로 피고 꽃받침이 기부까지 깊게 갈라지는 점이 다르다.♠ 종소명 subsessilis는 '입자루가 거의 없는'을 뜻한다.♠ 개화기가 끝날 무렵이면 화관 안쪽이 붉게 변색한다.잎: .. 2024. 12. 18.
백당나무 (Smooth-cranberrybush viburnum) 꽃차례의 중앙에 양성화가 피고, 가장자리에는 헛꽃이 피는 백당나무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Viburnum opulus L. var. sargentii (Koehne) Takeda♠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산토끼꽃목> 인동과> 산분꽃나무속> 백당나무♠ 분포: 한국, 중국(중북부), 러시아(사할린), 몽고, 일본(홋카이도, 훈슈) ♠ 꽃: 5~6월 ♠ 열매: 8~9월 ♠ 크기: 3~5m ♠ 꽃말: 마음♠ 유래: 하얀 꽃이 단을 이루는 나무라는 뜻의 '백단나무'라 하다가 백당나무가 된 것이다.♠ 꽃차례의 중앙에는 양성화가 피고, 가장자리에는 무성화가 핀다.♠ 진짜꽃 주위로 가짜꽃이 둘러싸고 있어 마치 접시 같이 생긴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접시꽃나무'라고도 부른다.♠ 꽃차례의 꽃이 .. 2024. 12. 18.
아왜나무 (Sweet viburnum) 잎이 두껍고 수분이 많아 방화수로 적합한 아왜나무 : 상록 활엽 교목♠ 학명: Viburnum odoratissimum Ker Gawl. ex Rümpler var. awabuki♠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인동과> 산토끼꽃목> 산분꽃나무속> 아왜나무♠ 분포: 한국(제주), 일본, 중국, 대만♠ 국내분포/자생지 : 남해안 및 제주도의 낮은 지대 숲 속 ♠ 꽃: 6~7월 ♠ 열매: 8~9월 ♠ 크기: 6~12m ♠ 꽃말: 지옥에 간 목사♠ 유래: 나무에 수분이 많아 불이 붙어도 거품이 빠져나와 잘 타지 않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아와부키'라고 부르는데, 이것이 아와나무를 거쳐서 아왜나무가 된 것이다.♠ 주로 정원수로 심으며, 불에 잘 타지 않고 잎에 윤기가 있기 때문에 방화용수나 생울타리.. 2024. 12. 17.
분꽃나무 (Korean spice viburnum) 분 냄새와 같은 향기가 나는 분꽃나무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Viburnum carlesii Hemsl.♠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산토끼꽃목> 연복초과> 산분꽃나무속> 분꽃나무♠ 분포: 한국, 일본(혼슈 이남), 중국 중부(안후이성)♠ 국내분포/자생지 : 전국의 햇빛이 잘 드는 낮은 산지 ♠ 꽃: 4~5월 ♠ 열매: 9~10월 ♠ 크기: 2~3m ♠ 꽃말: 수줍음♠ 유래: 꽃 모양이 '분꽃'과 비슷해서, 그리고 꽃에서 분 냄새와 같은 향기가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매우 국지적으로 분포해, 희귀 수종으로 분류하고 있다.꽃: 양성화, 4~5월에 가지 끝에 흰색 또는 연한 홍색 꽃이 모여 피며, 향기가 강하다.잎: 마주나기, 넓은 달걀형이며, 끝은 뾰족하고.. 2024. 12. 17.
참식나무 (Sericeous newlitsea) '진짜 식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진 참식나무 : 상록 활엽 교목♠ 학명: Neolitsea sericea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녹나무목> 녹나무과> 참식나무속> 참식나무 ♠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 국내분포/자생지: 울릉도, 제주도 및 서남해안 도서 지역♠ 꽃: 10~11월♠ 열매: 다음 해 10월♠ 크기: 10~15m♠ 꽃말: 변치않는 열정적인 사랑♠ 유래 : 참식나무는 '진짜 식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식나무는 층층나무과 식나무속이고, 참식나무는 녹나무과 참식나무속이다. 식나무와 참식나무는 과는 다르지만, 늘 푸른 나무라는 점과 같은 모양의 열매가 열린다는 점이 비슷하다.♠ 새잎은 황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아래로 처진다.♠ 새덕이와 유사하지만 잎이 보다.. 2024.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