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42 버즘나무 방패벌레 (Sycamore lace bug) ♠ 학명: Corythucha ciliata ♠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노린재목> 방패벌레과♠ 분포: 한국, 미국, 캐나다, 유럽♠ 피해수목: 버즘나무류, 물푸레나무류, 닥나무 등♠ 발생 횟수: 연 3회 발생♠ 월동태: 성충으로 월동♠ 가해습성에 따른 분류: 흡즙성형태: 성충은 몸길이가 3.0∼3.4mm이며 몸은 검은색이나 날개가 유백색이다. 머리 부분이 유백색의 원추형이고 더듬이는 4마디로 연황색이다. 앞날개는 편평하며 그물모양의 작은 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백색이다. 앞날개의 옆에는 짧은 검은 가시들이 있고 중앙에는 검은색의 둥근 돌기가 발달되어 있다.알은 표주박 모양인 어두운 갈색이고 크기가 0.25mm로 1, 2령때는 갈색이나 3령 이후에는 점차 어두운 갈색으로 변한다. 노숙한 약.. 2024. 12. 22. 이나무 (Idesia) 나무의 잎과 형태가 오동나무를 닮아 '산오동'이라고 부르는 이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Idesia polycarpa Maxim.♠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말피기목> 버드나무과> 이나무속> 이나무♠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국내분포/자생지: 전라도 및 제주도의 산지♠ 꽃: 5~6월 ♠ 열매: 10~11월 ♠ 크기: 10~15m ♠ 꽃말: 소중한 사람, 풍년♠ 유래 1: '의자 나무'라는 뜻의 중국 이름 '의수'를 빌려와, 쉽게 발음할 수 있도록 변화시킨 것이라고 한다.♠ 유래 2: 수피에 피목이 동물의 피를 빨아먹는 흡혈곤충 '이'가 붙어 있는 모습이라 해서 이나무라 한다는 설이 있다.♠ 나무의 형태와 잎이 오동나무를 닮아, 산오동이라고도 부른다.잎: 어긋나기, 잎 .. 2024. 12. 22. 까마귀밥나무 (Chinese winter-berry currant) 까마귀가 좋아하는 나무 까마귀밥나무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Ribes fasciculatum Siebold & Zucc. var. chinense Maxim.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범의귀목> 범의귀과> 까치밥나무속> 까치밥나무♠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국내분포/자생지: 주로 중부 이남의 해발고도가 낮은 산지에 비교적 드물게 자람♠ 꽃: 4~5월 ♠ 열매: 6~10월 ♠ 크기: 1~1.5m ♠ 꽃말: 예상♠ 유래: 까마귀는 머리가 좋아서 좋은 나무에만 있는 열매를 먹었는데, 까마귀가 이 나무만 먹기 시작해서 까마귀가 좋아하는 나무라는 뜻의 '까마귀밥나무'라고 부르게 되었다.♠ 까마귀밥나무를 '칠해목'이라고 부르는데, 칠은 옻나무를 뜻한다. 즉 옻나무 독을 해독해.. 2024. 12. 21. 까마귀쪽나무(Yellowish velvety-leaf litsea) 까마귀가 열매가 익는 족족 따 먹는 까마귀쪽나무 : 낙엽 활엽 관목(또는 소교목)♠ 학명: Litsea japonica (Thunb.) Juss.♠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녹나무목> 녹나무과> 까마귀쪽나무속> 까마귀쪽나무♠ 분포: 한국, 일본(혼슈 이남)♠ 국내분포/자생지: 서해안, 남해안 도서, 제주도의 바닷가 및 인근 산지♠ 꽃 : 9~10월 ♠ 열매 : 다음 해 6~7월 ♠ 크기 : 7~10m ♠ 꽃말 : 인내, 평안♠ 유래: 쪽빛(남빛) 보다 더 진한, 까마귀색의 검은 열매가 열리는 나무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 까마귀쪽나무를 '구럼비나무'라고도 하는데, 이는 제주도 서귀포시 강정마을 구럼비 해안에 자생하는 나무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쪽나무는 다정큼나무이다.♠ 열.. 2024. 12. 21. 측백나무 검은돌기잎마름병 (Chloroscypha needle blight) 주로 수관 하부에 발생하는 검은돌기잎마름병♠ 병원균: Chloroscypha chamaecyparidis♠ 분류: 곰팡이의 일종, 자낭균류♠ 분포: 한국, 일본, 북미, 유럽♠ 피해수목: 측백나무, 황금측백나무, 편백, 화백♠ 주로 울타리용 또는 정원수로 심는 측백나무에 흔히 발생하는 병이다.♠ 심한 낙엽과 가지마름을 일으켜 나무의 생장과 미관을 저해한다.♠ 여름철에 고온과 가뭄이 오래 지속되어 나무가 쇠약해졌거나 너무 밀식되어 수관하부에 통풍과 채광이 불량할 때 잘 발생한다.피해 특성: 측백나무과 수목으로 울타리를 만든 곳에 심하게 발생하여 낙엽이 되므로 수목의 생장이 저하되고 조경용 가치가 크게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울타리 조성목 등 통풍이나 채광이 나쁠 때 주로 발생하는 병원성이 약한 병으로 알려져.. 2024. 12. 20. 쉬땅나무 (False spiraea) ♠ 학명: Sorbaria sorbifolia♠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쉬땅나무속> 쉬땅나무 ♠ 분포 : 한국, 일본, 중국(동북부), 몰골, 러시아(동부)♠ 국내분포/자생지: 경북(청송) 이북의 숲 가장자리 및 계곡가 (주로 강원도의 산지)♠ 꽃 : 7~8월 ♠ 열매 : 9~10월♠ 크기 : 2m ♠ 꽃말 : 신중, 진중♠ 유래: 쉬땅은 수수깡의 평안도 사투리인데, 열매가 달린 모양이 수수이삭 같이 생겨서 붙인 이름이다.♠ 꽃에 꿀이 많아 벌과 나비의 좋은 밀원식물이다.♠ 쉬땅나무속은 전 세계에 약 8종이 있는데, 주로 아시아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유럽 및 북아메리카에도 도입되어 조경수로 이용되고 있다.♠ 쉬땅나무의 잎은 얼핏 보면 고사리류 또는 마가목의 잎과.. 2024. 12. 19.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