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충

노랑털알락나방 (Pryeria sinica Moore)

by 나무를 읽다 2023. 7. 24.
반응형

사철나무에서 만난 노랑털알락나방

♠ 학명: Pryeria sinica Moore

♠ 목명 : 나비목(Hemiptera)

♠ 과명 : 알락나방과(Zygaenidae)

♠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

♠ 출현시기 : 연 1회 발생

♠ 월동태 : 알로 월동

피해수목: 사철나무, 화살나무, 회잎나무 등 노박덩굴과 식물과 장미과식물

 가해습성에 따른 해충분류: 식엽성

노랑털알락나방1노랑털알락나방2
<4월27일 수원사무실 근처 사철나무 노랑털알락나방 유충>
노랑털알락나방3
<4월19일 회잎나무 식해중인 노랑털알락나방 유충>
노랑털알락나방4노랑털알락나방5
<노랑털알락나방 가해흔적>
노랑털알락나방6노랑털알락나방7
<5월18일 노랑털알락나방 탈피각>
노랑털알락나방8
<8월8일 노랑털알락나방 고치>

사무실 근처 사철나무를 지나다 발견한 노랑털알락나방 유충. 이렇게나 가까이에 이런 해충들이 있다니. 

늘 지나다니던 사철나무. 잎 뒷면을 자세히 본 적이 없어서 이런 해충들이 잎뒷면에 붙어있을 줄은 몰랐다.

너무나 열심히 식해하고 있는 해충들. 이러니 사철나무 잎들이 남아날 리가 없지.

4월에 발견한 유충, 5월에 발견한 탈피각, 이제 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되어 10월에 성충을 만날 수 있겠지.

노랑털알락나방 성충! 10월에 만나러 갑니다. 

<11월1일 노랑털알락나방 성충, (좌)암컷 (우)수컷
<11월1일 노랑털알락나방 성충 암컷>
<11월1일 노랑털알락나방 성충 수컷>
<11월1일 교미중인 노랑털알락나방 성충>
<11월1일 노랑털알락나방 알을 낳고 있는 암컷 성충>
<11월1일 노랑털알락나방 알무더기>

10월 중순부터 성충을 찾으러 사철나무 근처를 돌아다녔다.  11월!  드디어 노랑털알락나방 성충을 만났다.

암컷은 사철나무 줄기에서 알무더기로 알을 낳고 있다. 알무더기 표면에는 암컷의 배 끝에 있던 털로 뒤덮여 있다.

그래서 암컷의 배끝에는 노랑털이 안 보이고, 수컷의 배 끝에는 노란색털이 관찰된다.

암컷과 수컷의 더듬이가 확연히 구분되는데 수컷의 더듬이는 암컷이 풍기는 페로몬을 쉽게 탐지하기 위해서 크고 화려한 빗살무늬이고, 암컷의 더듬이는 가느다란 실모양으로 그 끝이 곤봉처럼 살짝 부풀어 있다.

유충> 고치> 성충> 알까지 모두 관찰했다. 노랑털알락나방은 알로 월동한다. 그대로 줄기에 붙어서 겨울을 날것이다.

내년에는 다시 유충이 되어 잎을 가해하겠지....

 

형태:

성충의 날개를 편 길이는 31∼35mm 내외이고 전체적으로 흑갈색이며 배에 등황색의 긴 털이 밀생되어 있고 날개는 반투명이다.

노숙유충의 몸길이는 약 20mm이고 전체가 담황색으로 여러 개의 흑갈색 종선(縱線)이 있으며 미세한 털이 있다.

 

피해:

특히 사철나무에서 피해가 심하게 나타난다.

대발생하여 가지만을 남기고 잎 전체를 식해 하므로 수벽으로 조성된 사철나무 벽이 엉성해진다.

매년 같은 장소에서 상시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가로수로 심은 경우보다 울타리용으로 심은 나무와 가지치기 못한 나무에 많이 발생한다.

 

생태:

연 1회 발생하며 가는 가지 위에서 알로 월동한다.

봄에 부화한 어린 유충은 새 가지 끝에 군서 하면서 새잎을 식해 한다.

탈피도 잎 뒷면에 모여하므로 잎 뒷면에 탈피각이 남아 있다.

성장하면 분산하여 가해한다.

5월 중순경에 잎을 철하여 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되며 10∼11월에 우화 한 성충은 낮에 많이 날아다니며 나뭇가지에 알을 덩어리로 낳는다. 이때 알덩어리의 표면은 암컷의 배 끝에 나 있는 털로 덮인다.

애벌레는 건드리면 거미줄을 이용하여 땅에 떨어진다. 발생지점은 해마다 비슷한 곳이다.

 

방제법:

1) 화학적 방제

- 애벌레는 집단생활을 하므로 발생 초기에 페니트로치온유제(50%), 에토펜프록스수화제(10%) 1,000배액을 수관에 뿌려 준다.

2) 생물적 방제

- 기생성 천적인 좀벌류, 맵시벌류, 알좀벌류, 기생파리류 등을 보호한다. 

- 포식성 천적인 풀잠자리류, 무당벌레류, 거미류 등을 보호한다.

3) 물리적 방제

- 유충은 건드리면 거미줄을 타고 땅으로 떨어지는 습성이 있으므로 피해목에 충격을 주어 떨어지는 유충을 잡아 죽인다.

- 새잎에서 군서 생활하는 어린 유충을 제거하여 소각한다.

 

출처:

[산림청> 산림보호> 병해충검색]

[조경수 병해충도감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