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0

솔송나무 (Ulleungdo hemlock) 울릉도에만 자생하는 솔송나무 : 상록 침엽 교목♠ 학명 : Tsuga sieboldii♠ 분류 : 식물계> 나자식물문> 구과식물강> 소나무목> 소나무과> 전나무아과> 솔송나무속> 솔송나무♠ 분포 : 한국, 일본(혼슈 이남)♠ 국내분포/자생지 : 울릉도의 산지 사면 및 능선♠ 꽃 : 4~5월 ♠ 열매 : 10월 ♠ 크기 : 25~30m ♠ 꽃말 : 행복한 마음♠ 유래 : 소나무를 뜻하는 솔이라는 우리말과 송(松)이라는 한자를 합친 이름이다.♠ 울릉도에만 자생하며, 열매가 작고 귀엽다.잎: 가지에 2줄로 나란히 나며, 잎끝이 둥글고 오목하게 들어간다.꽃: 암수한그루, 암꽃이삭은 달걀형이고 적갈색이며 2년지의 끝에서 아래로 향해 달린다. 수꽃이삭은 긴 달걀형이고 자루가 있으며 짧은 가지 끝에 달리며 붉은색이다.. 2025. 2. 17.
개잎갈나무 (Himalayan cedar) 히말라야 산맥 기슭에 사는 개잎갈나무 : 상록 침엽 교목♠ 학명 : Cedrus deodara♠ 분류 : 식물계> 나자식물문> 구과식물강> 소나무목> 소나무과> 개잎갈나무속> 개잎갈나무 ♠ 분포 : 한국, 중국(티베트 서남부), 히말라야 서남쪽♠ 국내분포/자생지 : 가로수, 공원수로 전국에 널리 식재♠ 꽃 : 10~11월♠ 열매 : 다음해 10~11월♠ 크기 : 20~30m ♠ 꽃말 : 보고싶은 아버지♠ 유래 : 잎갈나무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 히말라야 산맥 기슭이 원산지이며, 수형이 멋진 나무이다. ♠ 영어 명칭인 히말라야 시다로 잘 알려진 나무이다.잎: 침엽으로 길이 3~4cm로 짙은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횡단면은 삼각형이다. 긴가지에는 1개씩 .. 2025. 2. 17.
멀구슬나무 (Syringa berrytree) 염주 만드는데 쓰이는 멀구슬나무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 Melia azedarach L.♠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무환자나무목> 멀구슬나무과> 멀구슬나무속♠ 분포 : 한국, 중국, 대만, 인도, 네팔, 말레이시아 ~ 호주 북부, 솔로몬 제도 등♠ 국내분포/자생지 : 전남, 경남 및 제주도의 민가 주변에 야생화로 자람♠ 꽃 : 5~6월, 자주색♠ 열매 : 8월, 황갈색♠ 크기 : 10~15m ♠ 꽃말 : 사랑과 우정♠ 유래 : 나무에 멀건 구슬 모양의 열매가 열리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구슬 모양의 씨앗으로 염주를 만들었다.잎: 어긋나기, 홀수 2~3회깃꼴겹잎이다. 잎대는 어긋나고 작은 잎은 마주난다.꽃: 양성화, 5~6월에 새가지 끝에 연한 자주색 꽃이 모여 피는데, 은.. 2025. 2. 15.
산초나무속 비교 산초나무속 비교 (개산초, 왕초피, 초피나무, 산초나무, 머귀나무)개산초 (낙엽 활엽 관목)날카로운 가시가 많이 난다. 상록상이며 작은 잎은 3~7장이고 겹잎자루에 날개가 있다.왕초피나무 (낙엽 활엽 관목)마주나는 날카로운 가시는 밑부분이 넓어진다.작은 잎은 7~13장으로 적게 달린다.초피나무 (낙엽 활엽 관목)날카로운 가시가 마주난다. 작은 잎은 9~19장이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와 기름점이 있다.산초나무 (낙엽 활엽 관목)가시가 어긋나고 여름에 꽃이 핀다.작은 잎은 7~19장이며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머귀나무 (낙엽 활엽 교목)어린 가지는 녹색이고 가시가 있다.작은 잎은 13~31장이고 피침형~긴 타원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  출처:  [국가생물종지식정보.. 2025. 2. 14.
초피나무 (Chopi) 열매는 추어탕이의 비린내를 없애주는 향신료로 사용되는 초피나무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 Zanthoxylum piperitum (L.) DC.♠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무환자나무목> 운향과> 산초나무속> 초피나무 ♠ 분포 : 한국, 일본♠ 국내분포/자생지 : 황해도 이남의 낮은 산지 숲 가장자리, 건조한 풀밭 및 너덜지대 주변♠ 꽃 : 9~10월, 황록색♠ 열매 : 9~10월, 적갈색 또는 적색♠ 크기 : 1~5m ♠ 꽃말 : 온화, 희생♠ 유래 : 산초나무와 비슷하나 주로 열매껍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 열매는 추어탕이나 생선탕의 비린내를 없애주는 향신료로 사용된다. (추어탕집의 산초가 초피가루이다) ♠ 산초나무에 비해 가지의 가시가 마주나고 꽃이 원추꽃차례에.. 2025. 2. 14.
산초나무 (Mastic-leaf prickly ash) 열매를 기름을 만드는 원료로 사용하는 산초나무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 ♠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무환자나무목> 운향과> 산초나무속> 산초나무 ♠ 분포 : 한국, 일본(혼슈 이남), 중국(중남부), 필리핀♠ 국내분포/자생지 : 전국의 산지♠ 꽃 : 7~8월, 황록색♠ 열매 : 10~11월, 적갈색, 적색♠ 크기 : 1~3m ♠ 꽃말 : 온화, 희생♠ 유래 : 산에서 자라고 열매껍질에서 강한 향기가 나는 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열매는 기름을 만드는 원료로 사용되며, 식용 또는 약용한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 열매의 껍질은 소화불량·구토·치통·이질·설사·회충구제 등을 위한 치료제로 사용한다. ♠.. 2025.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