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충

해충 큰이십팔점박이 무당벌레 / 익충 무당벌레

by 나무를 읽다 2023. 9. 16.
반응형

해충인 큰이십팔점박이 무당벌레

♠ 학명: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 목명: 딱정벌레목

♠ 과명: 무당벌레과

♠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대만, 시베리아, 미국

♠ 출현시기: 연 3회 발생 (4~10월)

♠ 월동태: 성충으로 월동

♠ 피해수목: 구기자나무

큰이십팔점박이 무당벌레1큰이십팔점박이 무당벌레2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성충>
큰이십팔점박이 무당벌레3큰이십팔점박이 무당벌레4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유충>

형태:

몸은 반구형이며 일반적인 무당벌레와 비슷하게 생겼고 이십팔점박이 무당벌레 보다 큰 편이다. 몸 빛깔은 적갈색이고 회갈색의 연한 털이 촘촘히 있다. 머리에는 작은 점무늬가 촘촘하다. 겹눈은 검은색이다.

딱지날개에는 잔털이 나 있어 광택이 부드러우며 각각 14개씩, 모두 28개의 작은 검은색 얼룩무늬가 있고 회합선을 따라 있는 것은 서로 달라붙지 않았다. 

 

피해:

이른 봄의 월동 성충부터 늦가을까지 성충과 유충이 잎 뒷면에서 잎맥만 남기고 잎살을 식해 하여 그물 모양으로 만들어 놓는다. 피해받은 잎은 초기에 회백색을 띠지만 시일이 경과하면 갈색으로 변한다.

 

생태:

연 3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월동한 성충은 이른 봄부터 활동하는데 낮에는 가해 수종의 잎을 갉아먹고 밤에는 월동처에 숨는다.

5월이 되면 밤낮없이 가해 수종에서 생활한다. 월동 성충은 대부분이 7월 중순까지 살고 늦는 것들은 9월에도 볼 수 있다.

1 화기 성충은 6월 하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고 최성기는 7월이다.

2 화기 성충은 7월 하순~8월 상순에 우화하고 3 화기 성충은 9월 상·중순에 우화 한다.

산란수는 1회 성충이 450개 정도이고 하루에 20~30개씩 잎 뒷면에 산란한다.

알 기간은 5일이며 유충 기간은 기온이 높은 여름에는 2주일, 기온이 낮을 경우 3주일 이상이다.

여름에 가해 수종에서 각 충태를 볼 수 있다.

성충의 수명은 1 화기 성충이 40~50일, 2 화기 성충이 30~50일, 3 화기 성충은 약 70일이다.

 

방제법:

1) 화학적 방제

- 발생초기에 플룩사메타마이드 유제 2,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한다.

2) 생물적 방제

- 포식성 천적인 무당벌레류, 풀잠자리류, 거미류 등을 보호한다.

3) 물리적 방제

- 월동처에서 나와 가해하는 성충을 유아등으로 잡아 죽인다.

- 잎 뒷면에 산란한 알 덩어리를 채취하여 소각한다.

 

 

익충 무당벌레

무당벌레1무당벌레2
<무당벌레 성충>
무당벌레3무당벌레4
<무당벌레 알(좌), 무당벌레 유충(우)>
무당벌레5무당벌레6
<무당벌레 번데기>

무당벌레는 유충과 성충기간 모두 진딧물을 포식하는 익충이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무당벌레는 약 90여 종 이상이며 모두 포식성이다.

28점박이무당벌레,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가 가지, 감자 등을 가해하는 해충이다.

진딧물이 대발생했을 때 방제 효과가 빠르게 나타난다.

성충으로 월동을 하며 10월 중하순경부터 남향으로 위치한 바위나 담 같이 양지바른 곳에 수천 마리씩 모여드는 특성이 있다.

성충으로 방사하였을 경우 진딧물을 포식한 다음날부터 하루에 30개 이상의 알을 낳으며, 산란된 알을 노란색으로 3~4일 후면 유충으로 부화되어 유충들이 진딧물 포식을 한다. 진딧물을 주로 포식하지만 온실가루이 약충, 응애류, 나방류의 알 등도 포식하며, 유충과 성충기간에 약 1,000마리의 진딧물을 포식한다. 성충이 일생동안 산란하는 알의 수는 약 600~800개의 알을 낳는다.

알→유충→번데기→성충의 단계를 거치며, 봄과 가을철의 경우에는 알에서 성충까지 약 21~25일이 걸린다.

성충 수명은 약 2~3개월 정도다.

 

출처:

[산림청> 산림보호> 병해충검색]

[천적 이용 가이드(김용헌, 아카데미서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