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이 굿거리 할 때 흔들었다는 굴거리나무 : 상록 활엽 교목
♠ 학명 :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 구분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범의귀목> 굴거리나무과> 굴거리나무속> 굴거리나무
♠ 분포 : 중국(중남부), 일본(혼슈 이남), 타이완, 베트남, 한국
♠ 국내분포/자생지 : 울릉도, 전북, 전남 및 제주도의 산지
♠ 꽃 : 5~6월
♠ 열매 : 11~12월
♠ 크기 : 3~10m
♠ 꽃말 : 자리를 내어줌
♠ 유래 : 무당이 굿거리 할 때, 굴거리나무의 가지를 흔들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 봄철 새 잎이 나온 직후 오래된 잎이 떨어져 자리를 양보하는 나무라는 뜻으로 '교양목'이라 부르기도 한다.
잎: 어긋나기, 잎몸은 가죽질이고 앞면에는 광택이 있다. 새 잎은 곧추서고, 오래된 잎은 밑으로 처진다.
꽃: 암수딴그루, 지난해 자란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꽃잎이 없는 꽃이 모여 핀다.
열매: 핵과,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흑자색으로 익는다. 표면에 흰색 분이 생긴다.
겨울눈: 붉은색을 띠며, 좁은 타원형이다. 잎자루가 변한 여러 개의 눈비늘조각에 싸여 있다.
수피: 회갈색, 껍질눈과 세로줄이 있으나 평활하다.
생육환경: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에서는 해발 1,200m까지 분포한다.
음수이고 비옥한 양토 또는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고 건조한 곳을 싫어한다.
특징:
생장이 늦고 맹아력이 약하다.
천연기념물
①제91호(굴거리나무 군락)
②소재지: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 굴거리나무 군락
③지정사유: 학술 연구 자원
④면적:360,993㎡
출처: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
[핸드북 나무도감]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댕강나무 (Taihyun’s abelia) (1) | 2025.08.27 |
---|---|
까치박달 (Heart-leaf hornbeam) (2) | 2025.08.26 |
괴불나무 (Amur honeysuckle) (0) | 2025.08.23 |
조팝나무 (Simple bridalwreath spiraea) (4) | 2025.08.22 |
감탕나무 (Elegance female holly) (0) | 202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