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충77 좀검정잎벌 ♠ 학명: Macrophya timida Smith♠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벌목> 솔잎벌과> Macrophya♠ 분포: 한국, 일본♠ 피해수목: 광나무, 쥐똥나무, 개나리 등 ♠ 발생 횟수: 연 1회 발생 ♠ 월동태: 전용으로 월동 ♠ 가해습성에 따른 분류: 식엽성형태:유충의 몸길이는 22mm이고 머리는 황갈색, 눈은 검은색이며 몸은 푸른색을 띠며 두꺼운 밀랍 물질로 덮여있다. 눈은 검고 머리는 황갈색이다. 성충의 몸길이는 9mm이며 검은색이다.피해:4∼5월경 쥐똥나무의 잎을 가해한다.주로 잎 뒤에서 가장자리부터 갉아먹는다. 돌발성 해충으로 취급한다.발생밀도가 높으면 잎 전체를 먹게 된다. 이 경우에도 나무의 성장이 나빠져 수세는 약화되지만 나무가 죽는 경우는 없다. 생태:연 1회 발생하.. 2024. 12. 26. 솔거품벌레(소나무거품벌레) (Pine spittle bug) ♠ 학명: Aphrophora flavipes Uhler♠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노린재목> 뽕나무노린재과> 솜거품벌레♠ 분포: 한국, 일본, 중국♠ 피해수목: 곰솔,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구상나무 등♠ 발생 횟수: 연 1회 발생 ♠ 월동태: 알로 월동 ♠ 가해습성에 따른 분류: 흡즙성형태:성충의 몸길이는 약 8~10mm, 갈색을 띠는 납작한 작은 매미 모양으로 뛰기에 알맞은 뒷다리가 있다.몸통은 암갈색, 등쪽은 갈색으로 불규칙한 무늬가 있다. 다 자란 약충이 머리와 가슴은 갈색이거나 진한 갈색이며 배 부분은 등황색을 띤다. 몸길이는 약 4~5mm 정도이다.알 크기는 2mm 정도이다.피해:5∼6월경 1~2년생 어린 가지에 기생하여 흡즙 하며 항시 체표에 거품 모양의 물질을 분비한.. 2024. 12. 26. 구기자혹응애 (Lycium leaf blister mite) ♠ 학명: Eriophyes macrodonis Keifer♠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거미강> 응애목> 혹응애과 ♠ 분포: 한국, 일본, 미국♠ 피해수목: 구기자나무♠ 발생 횟수: 연 수회 발생 ♠ 월동태: 암컷성충으로 월동 ♠ 가해습성에 따른 분류: 흡즙성형태:암컷 성충의 몸길이는 0.17~0.18mm이고 방추형에 가까우며 몸은 노란색을 나타낸다. 겨울을 나는 암컷은 몸길이가 0.15~0.16mm이고 폭은 0.074mm이며, 방추형에 연한 황색을 띤다.수컷은 길이가 0.175mm이고 폭은 0.054mm 정도이다. 알은 둥근형이고 직경이 약 0.05mm이고 반투명하며 우윳빛을 띠고 펴면에는 울퉁불퉁한 무늬를 갖고 있다.어린 응애는 반투명하며 몸길이는 0.1~0.13mm이다.다리는 두 쌍이고 등과 배.. 2024. 12. 23. 뽕나무이 (Mulberry Sucker) ♠ 학명: Anomoneura mori Schwarz♠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노린재목> 큰날개매미충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피해수목: 뽕나무류♠ 발생 횟수: 연 1회 발생 ♠ 월동태: 성충으로 월동 ♠ 가해습성에 따른 분류: 흡즙성형태:암컷 성충은 약충처럼 흰색 밀랍이 몸 위에 덮여 있으나 몸은 황갈색이거나 다갈색이다.수컷 성충의 몸길이는 3~3.6mm이고, 날개를 편 길이는 9mm 정도이다. 암컷 성충은 3.5~4.1mm에 달한다. 몸은 우화 직후에는 황갈색이었다가 차츰 짙은 색이 되고 겨울을 지난 뒤에는 다갈색이 된다. 더듬이는 머리 폭의 약 2배에 이를 정도로 길며 담황색 내지 다갈색이다.알은 길이가 약 0.37mm로 방추형이다. 알의 색은 유백색이고 시간이 지나면 .. 2024. 12. 23. 버즘나무 방패벌레 (Sycamore lace bug) ♠ 학명: Corythucha ciliata ♠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노린재목> 방패벌레과♠ 분포: 한국, 미국, 캐나다, 유럽♠ 피해수목: 버즘나무류, 물푸레나무류, 닥나무 등♠ 발생 횟수: 연 3회 발생♠ 월동태: 성충으로 월동♠ 가해습성에 따른 분류: 흡즙성형태: 성충은 몸길이가 3.0∼3.4mm이며 몸은 검은색이나 날개가 유백색이다. 머리 부분이 유백색의 원추형이고 더듬이는 4마디로 연황색이다. 앞날개는 편평하며 그물모양의 작은 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백색이다. 앞날개의 옆에는 짧은 검은 가시들이 있고 중앙에는 검은색의 둥근 돌기가 발달되어 있다.알은 표주박 모양인 어두운 갈색이고 크기가 0.25mm로 1, 2령때는 갈색이나 3령 이후에는 점차 어두운 갈색으로 변한다. 노숙한 약.. 2024. 12. 22. 광대노린재 (clown stink bug) 국립수목원에서 만난 광대탈을 쓴 것 같은 광대노린재♠ 학명: Poecilocoris lewisi♠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노린재목> 광대노린재과♠ 분포: 한국, 일본, 대만, 중국♠ 출현시기: 연 1회, 5월 하순부터 성충으로 우화 ♠ 월동태: 약충 월동 ♠ 가해습성에 따른 분류: 흡즙성♠ 크기: 몸길이 17~22mm♠ 서식장소: 숲이나 들판의 수풀♠ 피해수목: 등나무, 참나무, 식나무, 층층나무, 목련, 노린재나무의 열매 등형태:몸길이 17∼20mm이다. 몸의 등면은 금속광택이 나는 황록색 바탕에 주황색의 줄무늬가 있다. 겹눈은 어두운 갈색이다. 촉각(더듬이)은 5마디인데 제2마디가 가장 짧고 푸른빛을 띤 남색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다. 앞가슴등판의 옆가장자리와 배의 둘레는 황백색이다. 작.. 2024. 12. 3. 이전 1 2 3 4 5 6 7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