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131 커피나무 (Coffea arabica) 특유의 맛과 향, 카페인이 있는 커피나무 : 상록 활엽 관목 ♠ 목: 용담목 ♠ 과: 꼭두서니과 ♠ 속: 커피속 ♠ 종: 커피나무 ♠ 분포: 아프리카 ♠ 원산지: 동아프리카(수단, 에티오피아, 케냐) 600년 전까지 커피나무는 에티오피아 산악림의 하층 식물에 불과했다. 하지만 오늘날 이 나무를 비롯한 '코페아종'은 구제 식물 무역에서 원유에 이어 2번째로 중요한 경제적 가치가 있다. 커피가 발견된 경위는 신화에 가깝다. 여러 가지 설 가운데 에티오피아의 염소 치는 목동 칼디 이야기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염소들이 빨간 열매를 주워 먹고 힘차게 날뛰는 모습을 목격한 칼디는 직접 그 열매를 먹어보고 갑자기 기운이 솟는 것을 느꼈다. 이 반응을 지켜보던 한 수도승도 호기심이 생겨 열매를 맛봤다가 수도원으로 .. 2023. 9. 15. 계수나무 (Katsura tree) 푸른 하는 은하수 하얀 쪽배엔 계수나무 한 나무 토끼 한 마리 : 낙엽 활엽 교목♠ 목: 범의 귀목♠ 과: 계수나무과♠ 속: 계수나무속♠ 분포: 한국(중부 이남)♠ 원산지: 일본♠ 꽃: 3~4월♠ 열매: 9~10월♠ 크기: 25~30m♠ 꽃말: 명예, 승리의 영광♠ 일본에서 자생하던 계수나무는 우리나라에 수입된 뒤 정원수로 널리 심어졌다. ♠ 계수나무의 특징은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다. 또한 가을이 되면 노란 단풍나무 잎 자루에서 설탕냄새가 난다.♠ 계수나무는 달에서 토끼 두 마리가 계수나무 밑에서 떡방아를 찧는다는 전래동화에 나온다. 하얀 쪽배는 초승달을 말하고 계수나무와 토끼는 달의 음영이 만들어낸 환영이라고 한다. 푸른 하는 은하수하얀 쪽배엔 계수나무 한 나무 토끼 한 마리돛대도 아니 달고 삿대도.. 2023. 8. 29. 화살나무(Burning bush spindeltree) 줄기에 화살모양 날개가 있는 화살나무 : 낙엽 활엽 관목♠ 문: 현화식물문♠ 강: 쌍떡잎식물강♠ 목: 무환자나무목♠ 과: 노박덩굴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만주, 우수리♠ 원산지: 한국♠ 꽃: 5~6월♠ 열매: 9~10월♠ 크기: 1~4m♠ 꽃말: 위험한 장난, 냉정♠ 화살나무는 잔가지에 달린 날개를 화살에 비유하여 '활의 살 같다'라고 해서 처음에는 '활살나무'라 하였으며 지금의 '화살나무'로 불리게 되었다.♠ 화살나무의 코르크 날개는 부드럽고 녹색의 어린줄기가 노루나 토끼의 먹이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만든 조직이라고 한다. 실제로 코르크에는 초식동물이 좋아하는 전분이나 당분이 없다.♠ 화살나무와 달리 가지에 날개가 없는 것은 회잎나무이다.잎: 마주나기 하며 잎자루가 짧고, 타원형 또는 달걀을.. 2023. 8. 26. 능소화 (Chinese trumpet creeper) 성균관대학교에서 만난 능소화 : 낙엽 활엽 덩굴성 (feat. 미국능소화)♠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과: 능소화과♠ 원산지: 중국♠ 꽃: 7~9월♠ 열매: 10월♠ 꽃말: 여성, 명예, 영광, 기다림, 그리움♠ 옛날에 장원급제한 사람의 화관에 꽂는 어사화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꽃의 자태가 고고하면서도 아름다웠기 때문이다. 또한 양반집에나 심는 꽃이었다고 하여 양반꽃이라고도 한다. 낙엽활엽 덩굴성 목본으로 금동화라고도 한다.♠ 능소화는 어느 후궁이 임금을 기다리며 평생을 보내다 죽은 뒤 피어난 꽃이라는 전설이 있다. 꽃은 줄줄이 등을 켜듯 차례로 핀다. 돌담이나 울타리에 한두 그루 심으면 타고 올라가 멋지게 자라난다.꽃: 7~9월경에 가지 끝에 원추형 꽃차례를 이루며, 5~15개가 주황색으로 .. 2023. 8. 22. 배롱나무 (Crape myrtle) : 백일홍 산책하다 만난 배롱나무 : 낙엽 활엽 소교목♠ 문: 현화식물문♠ 강: 쌍떡잎식물강♠ 목: 도금양목♠ 과: 부처꽃과♠ 속: 배롱나무속♠ 분포: 중국, 한국(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이남, 경기도 일부)♠ 꽃: 7~9월♠ 열매: 8~10월♠ 꽃말: 부귀, 떠나간 친구에 대한 회상♠ 국명: 배롱나무는 백일홍이라고도 한다. 배롱나무의 꽃이 한 번에 피고 지는 것이 아니고 여러 날에 걸쳐 번갈아 피고 져서 오랫동안 피어 있어 '백일홍'이라고 하는데, 개화기간이 100일 정도라는 의미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배기롱나무'를 거쳐 '배롱나무'로 변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화과의 '백일홍(백일초)'이라는 한해살이풀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또한 '간지럼나무'라고도 하는데 줄기를 손톱으로 긁으면 간지럼을 타는 듯 나무 전.. 2023. 8. 1. 메타세쿼이아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화서역에서 만난 메타세쿼이아 : 낙엽 침엽 교목♠ 과명: 측백나무과♠ 원산지: 중국♠ 꽃: 3~4월♠ 열매: 10~11월♠ 꽃말: 영원한 친구♠ 국명: 메타세쿼이아는 원래 공룡이 살던 시대에 지구상에 널리 퍼져 자라던 나무라고 한다. 메타세쿼이아는 나무보다 화석이 먼저 발견되었다.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나무가 발견되지 않아 멸종됐다고 여겼는데, 1941년 중국 양쯔강 상류에서 엄청 큰 나무가 발견됐다. 나무가 미국에 있는 세쿼이아를 닮았고, 그 나무보다 나중에 발견돼서 '뒤에, 나중'를 뜻하는 메타를 붙여 메타세쿼이아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1956년 현신규 박사가 들여와 심기 시작했다. 재미있는 것은 메타세쿼이아 화석이 중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경북 포항에서도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우리 땅에서 살았.. 2023. 7. 18. 이전 1 ··· 18 19 20 21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