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40 수국 (Chinese sweetleaf) / 산수국(Mountain hydrangea) 물을 좋아하는 수국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 Hydrangea macrophylla♠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층층나무목> 수국과> 수국속> 수국♠ 분포 : 한국, 일본♠ 국내분포/자생지 : 전국의 공원 및 정원에 식재♠ 꽃 : 5~8월♠ 크기 : 1m ♠ 꽃말 : 진심, 변덕, 처녀의 꿈♠ 유래 : 중국명의 수구(繡球) 또는 수국(水菊)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 수국은 꽃 전체가 장식화인 것이 특징이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어 널리 식재하고 있다. ♠ 수국의 종소명 마크로필라(macrophy)는 '큰 잎의' 이라는 의미이다.잎: 마주나기, 5~10cm의 넓은 달걀형이며, 깻잎과 비숫하다. 끝은 꼬리처럼 길게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무성꽃, 6~7월에 개화하고, 편평꽃차례는.. 2025. 2. 11. 말발도리속 비교 말발도리 속 비교(빈도리, 애기말발도리, 바위말발도리, 말발도리, 물참대)빈도리가지 끝의 원뿔꽃차례에 흰색 꽃이 고개를 숙이고 핀다. 햇가지, 잎 양면, 열매는 별모양 털이 있다.애기말발도리가지 끝의 원뿔꽃차례에 흰색 꽃이 핀다. 햇가지와 잎 뒷면은 털이 없다. 열매도 털이 거의 없다.매화말발도리지난해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흰색 꽃이 1~3개씩 달린다.꽃받침조각은 좁은 삼각형이며 통부보다 짧다.바위말발도리햇가지 끝에 흰색 꽃이 1~3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가는 피침형이며 통부보다 길다.말발도리가지 끝의 고른 꽃차례에 흰색 꽃이 핀다.잎 양면에 별모양털이 있다. 열매도 별모양털로 덮여있다.물참대가지 끝의 고른 꽃차례에 흰색 꽃이 핀다. 잎에 털이 거의 없다. 열매도 털이 없이 매끈하다. 출처:나무 쉽게 .. 2025. 2. 10. 빈도리 / 만첩빈도리 말발도리와 비슷한 일본 원산지 꽃나무 빈도리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 Deutzia crenata♠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층층나무목> 수국과> 말발도리속> 빈도리♠ 분포 : 한국, 일본(원산지)♠ 국내분포/자생지 : 관상용으로 간혹 식재♠ 꽃 : 5~7월 ♠ 열매 : 9~10월 ♠ 크기 : 1~3m ♠ 꽃말 : 애교♠ 유래 : 말발도리와 비슷하지만, 가지 속이 아예 비어있는 경우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 ♠ 겹꽃이 피는 품종을 '만첩빈도리'라고 하며 빈도리보다 더 흔하게 식재하고 있다.잎: 마주나기, 달걀형이며, 가장자리에 미새한 잔톱니가 있다. 앞면에는 별모양의 털이 있어 까칠까칠하다.꽃: 양성화, 5~7월에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서 흰색 꽃이 모여 핀다.열매: 삭과, 구형.. 2025. 2. 10. 말발도리 (Mongolian deutzia) 열매의 위쪽 모양이 말발굽과 비슷한 말발도리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 Deutzia parviflora Bunge♠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수국과> 말발도리속> 말발도리♠ 분포 : 한국, 중국(양쯔강 이북), 몽골, 러시아(동부)♠ 국내분포/자생지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해발고도가 낮은 산지♠ 꽃 : 5~6월 ♠ 열매 : 9~10월 ♠ 크기 : 1~2m ♠ 꽃말 : 애교 ♠ 유래 : 열매의 위쪽 모양이 편자를 붙인 말발굽과 비숫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흔히 물참대보다 건조한 낮은 산지 및 숲 가장자리, 바위지대에서 자라며, 잎표면, 꽃받침통 및 열매에 성상모가 있고 열매도 좀 더 작은 것이 특징이다.잎: 마주나기, 달걀형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잔 톱니가 있다. .. 2025. 2. 10. 돈나무 (Australian laurel) 꽃향기가 멀리 퍼진다고 하여 만리향이라고도 부르는 돈나무 : 상록 활엽 관목♠ 학명 : Pittosporum tobira♠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미나리목> 돈나무과> 돈나무속> 돈나무 ♠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대만♠ 국내분포/자생지 : 경남, 전남, 전북 및 제주도의 바닷가 산지 (절벽, 바위지대)♠ 꽃 : 4~5월 ♠ 열매 : 9~11월 ♠ 크기 : 2~3m ♠ 꽃말 : 재물, 부, 행운♠ 유래 1 : 꽃과 열매에 꿀이 분비되면 벌레가 많이 꼬이므로, 지저분하여 '똥나무'라 하다가 변한 이름이다.♠ 유래 2 : 식물 전체(특히 뿌리)에서 고약한 냄새가 나며 열매에 끈적끈적한 물질이 있어 똥처럼 파리가 꼬인다고 하여 생긴 제주도 방언 '똥남'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 2025. 2. 7. 두릅나무 (Korean angelica tree) 새순을 나물로 먹는 두릅나무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 Aralia elata♠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미나리목> 두릅나무과> 두릅나무속> 두릅나무♠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동부)♠ 국내분포/자생지 : 전국의 하천가 및 산지 개활지♠ 꽃 : 7~9월 ♠ 열매 : 9~10월 ♠ 크기 : 3~4m ♠ 꽃말 : 애절, 희생♠ 유래 : 두릅나무는 향약본초에 지두을호읍으로 기록된 데서, 또는 목두채(木頭菜)에서 둘훕이 유래되었고 이것이 두릅으로 변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동의보감 탕액 편에는 둘옵 ♠ 새순을 나물로 식용한다. 참고로 개두릅은 음나무의 새순을 일컫는 말이다.잎: 어긋나기, 가지 끝에서는 모여 달린다. 길이 50~100cm의 2회 우상복엽이며, 잎축과 작은 잎에 .. 2025. 2. 7. 이전 1 2 3 4 5 6 7 8 ··· 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