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을 찔 때 시루에 잎을 까는 떡갈나무 : 낙엽 활엽 교목
♠ 학명 : Sambucus williamsii Hance
♠ 구분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참나무목> 참나무과> 참나무속> 떡갈나무
♠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대만
♠ 국내분포/자생지 : 전국에 분포하며 주로 해발고지가 낮은 산지
♠ 꽃 : 4~5월, 암수한그루
♠ 열매 : 9~10월
♠ 크기 : 20m, 지름 70cm
♠ 꽃말 : 힘, 용기, 끈기
♠ 유래 : 떡을 찔 때 시루에 잎을 까는 나무라는 데서 유래한다.
♠ 잎의 향긋한 냄새와 잎에 묻은 진딧물 오줌의 달짝지근한 맛이 배어서 떡 맛이 좋다.
♠ 피톤치드의 핵심물질인 테르펜의 살균효과가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해 떡이 상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 수피가 두껍기 때문에 산불에 강하다.
♠ 신갈나무에 비해 잎이 크고 뒷면에 회갈색의 털이 밀생하는 점과, 열매의 각두 인편이 선형이고 뒤로 젖혀지는 점이 다르다.
잎: 어긋나기, 가지 끝에서 모여 나며, 도란형 장타원형이다. 끝은 둔하고 밑부분은 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는 물결 모양의 둥근 톱니가 있다. 뒷면에는 회갈색의 짧은 털 또는 별 모양의 털이 밀생한다. 잎자루는 매우 짧으며 갈색 털이 밀생한다.
꽃: 암수한그루, 꽃은 4~5월에 잎이 나면서 동시에 핀다. 수꽃차례는 길이 10~15cm이며 새 가지 밑부분에서 아래로 드리운다. 암꽃차례는 새 가지 끝의 잎겨드랑이에서 5~6개씩 모여 달린다.
열매: 길이 2~2.5cm의 난상 구형이다. 견과는 길이 2cm 정도의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9~10월에 익는다.
겨울눈: 길이 4~10mm의 난상 장타원형이다.
수피: 회색 또는 회갈색이며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수형: 낙엽 교목이며 높이 20m, 지름 70cm 정도로 자란다.
출처: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
[한국의 나무]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딱총나무 (Northeast Asian red elder) (0) | 2025.09.18 |
---|---|
등대꽃나무 (Enkianthus) (0) | 2025.09.17 |
등 (Common wisteria) (0) | 2025.09.16 |
대추나무 (Jujube) (0) | 2025.09.15 |
담팔수 (Wild dampalsu trees) (1) | 2025.09.12 |